An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Industrial Injuries among Metal Products Manufacturing Workers in Young-Dung-Po, Seoul

일부 금속 및 기계제품 제조업체 근로자들의 산업재해($1980{\sim}1981$)에 관한 조사

  • Lee, Jung-Hee (Departmed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이정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82.10.01

Abstract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industrial accidents occurred at 12 factories manufacturing metal products during the period of 2 years from January 1980 to December 1981 in the area of Yong-Dung-Po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rate of industrial injuries was 45.7 per 1,000 workers of the sample group and the rate of male (54.0)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female (17.5). 2. In age groups, the highest rate was observed in the group of under 19 years old with 83.5, while the lowest in the group of 40s. 3. It was found that those who had short term of work experience produced a higher rate of injuries, particularly, the group of workers with less than 1 year of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rate of it as 48.1%. 4. In working time, the highest incidence rate occurred 3 and 7 hours after the beginning of their working showing the rate of 6.0 and 6.1 per 1,000 workers, respectively. 5. The highest incidence rate was observed on Monday as 8.4 per 1,000 workers, and it was 18.3% in aspect of the days of a week. 6. In aspect of the months of a year, the highest incidence was observed on July 1,000 workers and the next was on March as 4.8. These figures account for 11.8% of total occurrence in respective month. as 5. 4 per and 10.5% 7. In causes of injuries, the accident caused by power driven machinery showed the highest rate with 37.5%, the second was due to handling without machinery with 17.2%, and the third was due to falling objects with 14.2%, and striking against objects with 10.2%, and so on. 8. By parts of the body affected, the most injuries 84.3% of them occurred on both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ith the rate of 58.8% for the former and 25.5% for the latter. Fingers were most frequently injured with a rate of 40.3%. Comparing the sites of extremities affected, rate of injuries on the right side was 55.0% and 45.0% on the left side. 9. In the nature of injury, laceration and open wound were the highest with 34. 0%, the next was fracture and dislocation with 31. 9%, and sprain was the third with 8.1%. 10. On the duration of treatment, it lasted less than one month in 68.9% of the injured cases, of which 14.5% of the cases were recovered within 2 weeks, and 54.4% of them were treated more than 2 weeks. And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tended to be prolonged in larger industries. 11. The ratio of insured accidents to uninsured accidents was 1 to 4.7.

1980. 1. 1부터 1981. 12. 31까지 만 2년간 서울 영등포 지역의 12개 금속 및 기계제품 제조업체 근로자들의 산업재해의 특성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해 발생율은 근로자 1000명당 45.7이며 남자 54.0, 여자 17.5로 남자에서 약 3배 이상 많이 발생하고 규모가 클수록 발생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재해자들의 연령별 발생율은 19세 미만이 83.5로 제일 높고 $40{\sim}49$세가 가장 낮았다. 3. 근속 연수별 발생 분포는 1년 이하인 자가 48.1%로 근속연수가 짧을수록 재해빈도는 높았다. 4, 작업 개시 후 시간적 변동에 따른 발생율은 작업 개시 후 3시간이 6.0, 7시간이 6.1로 두 정점을 이루었다. 5. 요일별 재해 발생율은 월요일이 8.4(18.3%)로 가장 높았고 일요일이 가장 낮았다. 6. 월별 재해 발생율은 7월에 5.4(11.8%)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3월로 4.8(10.5%)였다. 계절별 발생율은 봄철에 13(28.4%)로 가장 높았다. 7. 재해원인별 발생빈도는 기계에 의한 것이 37.5%로 가장 높고, 다음이 기구없이 취급, 낙하물, 충돌에 의한 것이 각각 17.2%, 14.2% 및 10.2%를 차지하였다. 8. 상해 부위별 발생빈도는 상지부(上肢部)가 58.8% 하지부(下肢部)가 25.5%로 상하지(上下肢)가 전체의 84.3%였으며 이중 수지(手指)가 40.3%로 빈도가 제일 높았으며 좌우별 분포는 우측이 10%정도 많았다. 9. 상해 종류별 발생빈도는 열창 및 좌창이 34.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골절 및 탈구로 31.9%, 염좌 8.1%의 순이었다. 10. 요양 기간별 발생 분포는 2주에서 1개월이 54.4%로 가장 높았고 1개월 미만이 전체의 68.9%로 대부분이었으며 업체 규모가 클수록 치료기간이 연장되는 경향을 보였다. 11. 산재분 재해 대 비산재분 재해의 비율은 1:4.7이었다.리양상(解離樣相)은 거의 비슷하게 완만(緩慢)하였다. 4. 이상(以上)의 소견(所見)으로 미루어 볼 때 임신부(姙娠婦)의 CO 중독(中毒)은 산모(産母)보다 태아(胎兒)에서 더 큰 위해(危害)를 초래(招來)할 가능성(可能性)이 크며 또 HbF의 구성점유율(構成占有率)이 높은 6개월(個月) 이하(以下)의 영아에서도 그 위해도(危害度)가 클 것으로 간주(看做)된다. 따라서 임신부(姙娠婦) 또는 생후(生後) 6개월(個月) 이하(以下)의 영아가 CO 중독(中毒)되었을 때는 고압산소요법(高壓酸素療法)이 효과적(效果的)인 치료법(治療法)으로 보이며 그 치료시간(治療時間)을 성인환자(成人患者)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좀 더 길게하는 것이 CO 중독(中毒)에 의한 위해(危害)를 감소(減少)시켜 줄 것으로 기대(期待) 된다. 있었다. 또한 공정 중 microwave와 autoclaving은 4가지 수산식품 낙지, 조기, 홍어, 새우의 allergenicity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외선은 단백질로 구성된 allergen의 구조는 크게 변화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보여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생선의 가공방법은 통조림 가공이나 microwave 처리가 allergenicity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낙지, 조기, 홍어, 새우의 한외여과 fraction중 고분자인 100,000이상에서만 allergenicity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 allergen들의 분자량은 100,000 이상으로 추정되며 검색된 allergynicity 생선을 10,000∼100,000으로 한외여과 하였을 때 100,000 이상의 fraction에서만 PCA에 의해 allergenicity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 검색된 생선이 anaphylaxis가 인간에게서까지도 반응할지는 의문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차후 임상실험환자에 의하여 최종 검증되어야 한다.일정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