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pidemiological study of human paragonimiasis by means of micro-ELISA

면역효소진단법을 이용한 폐흡충증 유행의 역학조사

  • Published : 1983.06.01

Abstract

As epidemiological parameters of human paragonimiasis, the positive rates of intradermal test and the sputum/stool ekaminations have long been employed in population surveys. However, both the specificity of the intradermal test and the sensitivity of sputumjstool examination have been gradually declined as the endemicity was lowered; thus the gap between above two parameters widened. In such context, the development of a new epidemiologic parameter or tool which makes it possible to accurately discriminate the active paragonimiasis cases was necessary. In the present study, the detection rate of Paragonimus-speclac IgG antibody by micro-ELISA was evaluated as an indicator of epidemiologic status of human paragonimiasis in a population. A total of 4, 285 students and inhabitants living in Bukpyeong Myeon and Bukil Myeon, Haenam Gun, Jeonlanam Do was surveyed in October, 1983 by intradermal test first. Out of them, 244 cases (5.7%) were found positively reacted to VBS antigen of F. westermani. Out of 168 positive reactors, 7 cases (4.2%) were egg positive either by two times of sputum examination or by one stool examination. That indicated that only 0. 16% of total surveyed were confirmed as active paragonimiasis by egg detection. When sera collected from 239 positive reactors of Intradermal test were tested by micro-ELISA for their specific IgG antibody, 40 cases(16.7%) were found to be positive. All of 7 egg positive cases were again positive for specific IgG antibody. Among remaining 232 intradermal test positive cases, 33 cases were positive for IgG antibody. In contrast to those, none of 42 positive reactors to intradermal test for Cloncrchis and of 128 intradermal test negative cases showed positive for Paragcnimus-specIfic IgG antibody. The rate of specific IgG antibody as detected by micro-ELISA appeared to be increased with the wheal size of the intradermal test. When the wheal sixte was over 13mm in diameter, about 50% of them were positive for specific IgG antibody. Thirty-one specific antibody positive cases were clinically evaluated by laboratory examinations (repeated sputum examination, peripheral eosinophil count and chest roentgenogram) and by history taking. Out of them 24 cases were associated with one or more positive laboratory findings: thus considered as active paragonimiasis cases. Out of 7 lab. finding-free cases 3 revealed past history of typical paragonimiasis symptoms, suggesting that they were in chronic or in convalescent stages. The remaining 4 cases were considered as either mild or ectopic infection cases; the possibility of cross-reaction with other helminthiases could not be ruled out.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inferred that the detection of Paragonimus-specIfic IgG antibody by micro-ELISA was very much helpful in detecting the active cases as well as in proper evaluation of the endemicity of human paragonimiasis in a population. The convenience of mass haildling of sera in micro-ELISA was considered another superiority as an epidemiologic tool.

폐흡충증의 유행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여 온 피내반응과 충란검사가 각각 특이도와 민감도에 문제를 갖고 있어 주민 중 현증 환자를 적절히 찾았다고 하기가 어렵게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폐흡충 특이 IgG항체를 검사함으로써 항체양성자의 수를 현증 환자의 수로 하는 방법을 폐흡충증 역학조사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이항체를 면역효소진단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그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과 북일면의 6개 국민학교, 2개 중학교, 1개 고등학교 학생과 2개 부락 주민 등 모두 4,285명을 우선 피내 반응으로 검사하고 폐흡충 피내반응 양성자에서 가래 검사를 한번 실시하였고 혈청을 채취하여 면역효소진단법으로 폐흡충 특이 IgG항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대상자 4,285명 중 폐홉충 피내반응 양성자는 244명 (5.7%)이었고, 피내반응 양성자 중 충란 양성자는 7명 (4.2%), 면역효소진단법에 의한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40명 (16.7%)이었다. 전체 조사 대상자에 대한 충란 양성자의 비율은 0. 16%,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0.93%에 해당하였다. 2. 폐흡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충란 양성자에서는 100%, 폐흡충 피내 반응은 양성이나 충란검사 음성자에서는 14.2%에서 나타났으나, 간흡충 피내반응 양성자 또는 피내반응 음성 자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 폐흡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피내반응 구진의 크기 9mrn이하에서는 없었고, 10mm에서는 5.5%, 11∼12mm에서는 26.1% 및 18.2%, 13mm이상에서는 평균 42.4%에서 양성이었다. 4. 특이항체 양성자 31명을 임상적으로 조사한 바 검사소건(흉부 X-선, 충란검사 및 호산구 비율)에서 폐흡충증에 합치하는 이상소견이 24례에서 나타나 현증 폐홉충증 환자로 생각할 수 있었고, 나머지 7례중 3례는 폐흡충증의 과거력이나 쳔증 증상을 갖고 있었으며 4례에서는 특이항체 양성소견 이외에는 어느 검사로도 폐흡충증임을 증명할 수가 없었다. 5. 폐홉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 수의 피내반응 양성자 수에 대한 비율은 연령별로 7∼9세에서는 16.6%, 10∼14세에서 25.4%, 15w18세 군에서는 18.3%이었고 20세 이상에서는 10.0%로 떨어지고 있었다. 6. 체홉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는 북평면의 산골 마을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면역효소 진단법에 의하여 폐흡충 특이 IgG항체 양성자를 조사함으로써 어느 지역의 폐흡충중 현증 환자를 피내 반응이나 충란 검사보다도 더 사실에 가깝게 측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현지조사를 직접 간접으로 도와 주신 해남군 보건소 민 경 소장님과 김용팔 주사, 북평면 면사무소 직원여러분과 해남군 교육청, 각급학교 교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환자의 흉부 X-선 사진을 판독하여 주신 중앙의대 부속 성심병원 방사선과 과장 정전상 부교수께 도 감사드립니다. )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