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Lipid Constituents on the Amylograph Characteristics of Barley Flour

지방질성분(脂肪質成分)이 보리가루의 Amylograph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

  • Choi, In-Sook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Lee, Su-Rae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Ewha Woman's University)
  • 최인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서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84.03.30

Abstract

Naked barley flour(Baekdong cultivar) was examined with respect to its pasting properties by means of Brabender amylograph after adding barley lipids, fatty acids, vegetable oils and emulsifiers at 1% level. Amylogram of barley flour showed a similar gelatinization temperature but higher paste viscosities at all reference points as compared with wheat flour. Barley flour showed lower amylograph curves by defatting with n-hexane, namely reductions in initial gelatinization point, maximum viscosity and setback value. But re-addition of n-hexane extract to the defatted flour essentially reproduced the curve obtained in the undefatted flour. Addition of polar and nonpolar lipids exhibited different effects on the pasting properties of barley flour. Polar lipids generally increased maximum viscosity a little while non-polar lipids increased the maximum viscosity substantially. Addition of increasing amounts of nonpolar lipids was found to progressively increase the maximum viscosity. Addition of fatty acids increaed th maximum viscosity and delayed the peak time. The maximum viscosity of defatted barley flour impregnated with unsaturated fatty acids was higher than that of defatted barley flour impregnated with saturated fatty acids Increasing amounts of linoleic acid were fount to progressively increase the maximum viscosity and to delay the peak time of defatted barley flour. Addition of six vegetable oils lowered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rasied the maximum viscosity and temperature at maximum viscosity. Addition of increasing amount of peanut oil was found to decrease the maximum viscosity. The effect of emulsifiers was greater in undefatted flour than in defatted flour. The maximum viscosity of defatted flour was slightly affected by Methocel 50, Methocel 1500 and Emulthin, and substantially increased by Methocel 4000, sodium polyacrylate and calcium stearyl lactylate.

지방질(脂肪質)과 유화제(乳化?)가 보리가루의 점조성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하여 쌀보리품종(品種)인 백동을 분말로 만들어 각종(各種) 첨가물질(添加物質)을 1%목준(木準)으로 동일(同一)하게 첨가(添加)하고, 그 점조성을 Brabender Amylograph를 사용(使用)하여 측정하였다. 보리가루의 amylogram 점성은 밀가루에 비하여 높으며 최고점도는 밀가루의 3배가 되었다.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을 제거한 보리가루의 점도곡선(曲線)은 탈지(脫脂)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가 저하되었다. 이때 추출(抽出)한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을 원래의 수준(水準)으로 다시 첨가(添加)하여 그 점도곡선(曲線)은 탈지(脫脂)하지 않은 보리가루의 점도곡선(曲線)과 잘 일치(一致)되었다. 보리추출지방질(抽出脂肪質)을 결합(結合) 및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 극성(極性) 및 비극성지방질(非極性脂肪質)로 분리(分離)하여 첨가(添加)한 경우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의 호화양상은 극성지방질(極性脂肪質)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은 비극성지방질(非極性脂肪質)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비극성지방질(非極性脂肪質)의 첨가시(添加時)에는 최점도가 상승되었으며, 극성지방질(極性脂肪質)의 첨가시(添加時)에는 최고점도에 별다른 영향(影響)이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脂肪酸)의 첨가시(添加時), 탈지(脫脂)보리가루의 최고점도와 그때의 온도는 상승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지방산의 첨가효과(添加?果)는 포화지방산(脂肪酸)보다 불포화지방산(脂肪酸)의 경우 크게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중(脂肪酸中)에서는 팔미트산과 미리스트산의 경우에 가장크게 나타났다. 식물성기름을 첨가(添加)한 경우 호화개시온도는 다소 감소(減少)되었으며, 최고점도와 그때의 온도는 약간 상승되었다. 또한 식물성 기름의 첨가수준(添加水準)을 높이면 최고점도는 다소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유화제(乳化劑)의 첨가(添加)는 탈지(脫脂)한 보리가루에서 보다는 탈지(脫脂)하지 않은 보리가루에서 점도의 상승효과(上昇? 果)가있었다. 탈지(脫脂)보리가루에 있어서 M-ethocel 4000, sodium polyacrlate, calcium stearyl lactyalte는 최고점도를 상승(上昇)시켰으며, 특(特)히 calcium stearyl lactylate는 냉각점도를 크게 상승(上昇)시켰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