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적환경조건에 따른 수도 보통기 재배시기 추정에 관한 연구

Geographic Factors and the Modeling of Rice Culture under Normal Season in Korea

  • Lim, M.S. (Crop Experiment Station, ORD) ;
  • Chung, G.S. (Crop Experiment Station, ORD) ;
  • Cho, C.Y. (International Technical Cooperation Officer, ORD) ;
  • Park, L.K. (Crop Experiment Station, ORD) ;
  • Bae, S.H. (Honam Crop Experiment Station) ;
  • Ham, Y.S. (Crop Experiment Station, ORD) ;
  • Lee, E.U. (College of Agrica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i, H.O. (Crop Experiment Station, ORD)
  • 발행 : 1984.07.01

초록

한국 수도작의 재배시기 추정식을 유도하기 위하여1962∼1980년의 지역적응시험성적을 이용하여 몇가지 분석을 한 결과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상, 지리조건 및 재배시기 상호간에는 고도의 상관이 있었고 기상요인 중에서는 최저평균기온이 재배시기에 가장 크게 작용하나 기타요인들도 관여함을알 수 있었다. 지리적 요인 중에서는 위도, 고도 및 경도의 순으로 기상과 경종시기에 관여하였다. 2. 반종부터 적정출수까지의 전생육일수는 Japonica 품종군의 경우가 115일, I/J품종군은 111일 이었고 육묘기간은 각각 44일과 42일 이었다. 3. 위치결정요소인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이용하여 파종기, 이앙기, 적정출수기 및 안전출수. 한계기 추정식을 유도한 결과 편회귀계수와 중상관계수가 모두 유의성을 보여 재배시기추정식은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 그러나 본 연구분석에 Topology 효과는 고려되지 않아서 특수지역에의 적용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특수생태형을 가진 품종이나 특이한 재배법에의 적용은 좀더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order to find an appropriate model for rice crop-season, the possibility to utilize the geographical conditions instead of meteorological factors was examined on the data from the Local Adaptability Test(LAT) conducted over the country from 1962 to 1980. The mutiple regression model, $Y={\Upsilon}={\ss}{\sum}_{i=1}^n{\beta}^1X^iwas applied on seeding, transplanting, heading and marginal heading date, and multiple regression coefficients(\beta) and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 (R) were tested. Two varietal groups, japonica(1962-l971) and indica/japonica(l972-1980) were separately tested. The application of these established models, growth duration in nursery and paddy field, cultural season, and the relation between heading date and yield are review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