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소시용량의 차이가 과맥의 광합성 관련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Photosynthetic Character and Yield of Three Naked Barley Cultivars (Hordeum vulgare L.) Affected by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Application

  • Kim, S.H. (Dept. of Agronom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 J.Y. (Dept. of Agronomy, Korea University) ;
  • Kwon, H.J. (Dept. of Agronom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4.07.01

초록

본 시험에서는 질소비료를 증시하였을 때 수량을 지배하는 생체구성의 근원적 요소라 할 수 있는 맥체 엽록소 함량, 녹엽면적 및 군낙상태에서의 수광태세등 생육조건이 출수후 등숙기간중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수량구성 요소와 수량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과맥 품종중 찰성인 요네자와와 메성이며 대립인 백동과 소립인 영산보리를 재료로 질소시용량을 달리하여 수행한 시험에서 얻은 몇가지 결과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특성의 변화를 보면 질소비료를 증시할수록 출수, 성숙기가 늦어지는 경향이며 요네자와가 다른 두 품종보다 출수기가 2~3일, 성숙기는 6~7일 늦었다. 장간인 백동이나 영산보리보다 단간인 요네자와가 다비조건에서도 도복되지 않는 내도복성 품종이었다. 2. 수량은 질소수준에 관계없이 수수와 천립중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였다. 출수후 등숙이 진행됨에 따른 건물중과 수량의 증가 속도는 다수성인 백동이 가장 빨랐다. 한편 백동은 출수후 3주째부터 건물중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수량이 적은 요네자와는 성숙이 진전함에 따라 건물중의 증가가 완만하였다. 요네자와는 배비구($N_2$)에서 234kg/10a, 백동은 배비구($N_2$)에서 302kg/10a 그리고 영산보리는 보비구($N_1$)에서 332kg/10a의 최대 수량을 각각 확보할 수 있었다. 3. 출수 직후의 충분한 엽면적 확보와 질소증시에의한 엽록소 함량의 증가가 증수의 요결로 보였다. 3배비구($N_3$)에서는 모든 품종이 성숙에 가까워서도 지나치게 잎이 무성하여 배비구($N_2$)보다 수량이 감소하였다.

Four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were applied to 3 naked barley cultivars (Hordeum vulgare L.) Yonezawa, Baekdong and Yeongsanbori. Changes in chlorophyll content, green leaf area and light penetration were monitored after heading. Yield and its components were examined upon these changes. Increased level of N-application delayed the days to heading and ripening by 2-3 and 6-7 days, respectively, in Yonezawa. Yonezawa with a short culm was more resistant to lodging than two tall ones (Baekdong, Yeongsanbori) under heavy nitrogen applications. Yield was affected mostly by the number of spikes per unit area and 1, 000 grain weight at all levels of N-applications. The increase in dry weight of Baekdong was more than in that of Yonezawa. A sharp increase in dry weight was observed after 3 weeks of heading. Maximum yield was obtained at $N_2$ in Yonezawa (234kg/10a) and Baekdong (302kg/10a) and at $N_1$ in Yeongsanbori (332kg/10a). It appears essential to attain the sufficient leaf area and the increase in chlorophyll content for maximum yield. However, too much leaf area at the highest N level up to the ripening stage was not beneficial for dry matter produ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