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ress Temperature and Time on Physical Properties of Larch Particleboard

압체온도(壓締温度)와 시간(時間)이 낙엽송(落葉松) 파티클 보오드의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 Lee, Phil Woo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g, Gyun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필우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 정균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Received : 1984.03.30
  • Published : 1984.04.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properties of particleboard based on the press time and temperature which was made of chip of larch that grows in Korea.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ven though the chips, 1:1-35 ratio between length and thickness, are relatively bad condition, the surface smoothness that can easily spread the adhesive evenly and thoroughly and bonding ability of chips can give proper physical properties. 2) It shows more mechanical properties at the press time of 10 min. in MOR (Modulus of Rupture), MOE (Modulus of Elasticity) and SHA (Screw Holding Ability). 3) It i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press time 20 min. in MOR, IBS (Internal Bonding Strength) and SHA, for the reciprocal actions between the accelerating aging effect of chip and the softening effect of adhesion are occured. 4) IBS is rising according to the increasing temp at the press time of 10 min. Because it needs to transfer the plate heat to make the proper hardening temp. In the layer. 5) The heat treatment effects have greatly influenced the stahility of dimension by falling the absorption, anisotropy and inhomegenity. As a result of these the values of thickness and linear expansion ratio were respectively dropped by the increase of press temp and the time and so did absorption.

본(本) 연구(硏究)는 국산낙엽송재(國産落葉松材)를 이용(利用)한 압체온도(壓締温度)와 시간(時間)에 따른 파티클보오드의 특성(特性)들을 조사(調査)하였다. 결론(結論)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길이와 두께의 비율(比率)이 1:1~35인 비교적(比較的) 불리(不利)한 조건하(條件下)의 chip임에도 불구하고 chip의 표면(表面)이 비교적(比較的) 매끈하게 접착제(接着劑)의 도포(塗布)가 고르게 되고, 공시재(供試材)의 좋은 접착특성(接着特性)이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에 좋은 영향(影響)을 주었다. 2) MOR, MOE, SHA에서 압체시간(壓締時間)이 10분(分)일 때 더욱 좋은 기계적(機械的) 특성(特性)을 보여주고 있다. 3) MOR, IBS, SHA에서 압체시간(壓締時間)이 20분(分)인 경우에 온도(温度)에 따른 그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이는 공시재(供試材)의 노화작용(老化作用)과 수지(樹脂)의 연화작용(軟化作用)이 상호작용(相互作用)하여 일어나는 현상(現狀)으로 보인다. 4) 박리저항(剝離抵抗)에서 압체시간(壓締時間)이 10분(分)일 때 온도(温度)에 따른 내부저항(內部低抗) 값이 증가(增加)되고 있는 것은 중층(中層)에 수지(樹脂)의 적정(適定) 경화온도(硬化温度)가 형성(形成)되는 시간(時間) 때문이다. 5) 흡수(吸水) 팽창(膨脹)에서 압체온도(壓締温度)와 압체시간(壓締時間)에 큰 영향(影響)을 주는데, 이는 열처리(熱處理) 효과(效果)에 따른 공시재(供試材)의 흡수성(吸水性), 이방성(異方性), 불균일성(不均一性) 등(等)이 감소(減)少되어 치수 안전성(安定性)을 유지(維持)시키는데 큰 역할(役割)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체시간(壓締時間)과 압체온도(壓締温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보다 좋은 치수 안전성(安定性)을 보여 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