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Time Dependency of Strain for Saturated Clay

포화점토(飽和粘土)의 변형(變形)에 있어서 시간의존성(時間依存性)에 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研究)

  • Received : 1984.06.07
  • Published : 1984.09.30

Abstract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strain characteristics of the time effect on the remoulded saturated day sampled from the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and the constitutive equation that can generally explain time-dependent behaviors of norma1ly consolidated clay. This paper examines whether or not the afore-said constitutive equation can be applied to the remoulded Mooan-clay. Throughout this study, the conclusion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roughout the isotropic consolidation test for 7 days and the isotropic relaxation test, the existence of the static and dynamic yielding surfaces is confirmed respectively. 2. The characteristics of time effect of the deformation, namely, the existence of a unique stress-strain-time relation, is conform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on the Mooan-clay. 3. The prodictions of the stress path and the strain on the Cam-clay theory is not consistent with those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s. 4. Constitutive equation(2-3-12) obtained by applying Cam-clay theory to Perzyna's elastic-viscoplasticity theory can explain the behavior of pore water pressure during isotropic stress relaxation, concerned with time dependency under undrained condition. The equation can also explain the results of the undrained triaxial compression test for the clay with different strain rate under the same or different consolidation history. 5. This constitutive equation has eight material parameters which can be determined from triaxial compression tests.

본문(本文)은 재생성(再生成)한 해성점토(海成粘土)에 대한 점토(粘土)의 시간효과특성(時間効果特性)과 정규압밀(正規壓密)된 점토(粘土)의 시간의존성거동(時間依存性擧動)을 보편적(普遍的)으로 설명(說明)할 수 있는 구성방정식(構成方程式)과 관계(關係)가 있다. 따라서 본문(本文)에서는 T. Adachi와 F. Oka가 제안(提案)한 구성식(構成式)을 채택(採擇)하였으며 이 구성방정식(構成方程式)은 Cam-clay 이론(理論)을 Perzyna외 탄일점소성연속체이론(彈一粘塑性連續體理論)에 적용(適用)하여 수립(樹立)된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방정식(構成方程式)이 재생성(再生成)한 무안점토(務安粘土)에 대하여 어떻게 적용(適用)될 것인가를 실험적(實驗的)으로 연구(硏究)한 것이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어진 결론(結論)의 주요(主要)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등방압밀(等方壓密)과 등방응력완화시험(等方應力緩和試驗)의 결과(結果)로부터 정적(靜的), 동적(動的)인 강복면(降伏面)이 각각 존재(存在)함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2. 일정변형전단시험(一定變形剪斷試驗)과 응력완화시험(應力緩和試驗)의 결과(結果)로부터 시간효과(時間効果)의 특성(特性) 즉 응력(應力)-변형율(變形率)-시간간(時間間)의 유일(唯一)한 관계(關係)가 존재(存在)함을 알 수 있다. 3. Cam-clay 이론(理論)에 의한 응력경로(應力經路)와 변형율(變形率) 추정(推定)에 있어서 이론치(理論値)와 실험치간(實驗値間)에는 차이(差異)가 있다. 4. Cam-clay 이론(理論)을 Perzyna의 탄일점소성체이론(彈一粘塑性體理論)에 적용(適用)시킨 구성방정식(構成方程式)(6)은 비배수상태(非排水狀態)의 등방응력완화과정중(等方應力緩和過程中) 발생(發生)하는 간극수압(間隙水壓)의 거동(擧動)을 설명(說明)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同一)한 혹은 다른 압밀이력(壓密履歷) 받은 점토(粘土)에 대하여 다른 변형속도(變形速度) 적용(適用)한 비배수(非排水) 3축시험(軸試驗)의 결과(結果)를 예측(豫測)하는데 상당한 적합성(適合性)이 있음을 알았다. 5. 이 구성방정식(構成方程式)에는 8개의 재료상수(材料常數)가 있는데 3축압축시험(軸壓縮試驗)을 통하여 쉽게 얻어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