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Performances of Some Oak Seedlings according to Soil Moisture Regime and Fertilization

수분(水分) 및 시비처리(施肥處理)에 따른 참나무 실생묘(實生苗)의 생육반응(生育反應)

  • Kim, Chi Moon (Dept. of Forestry,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 Kwon, Ki Won (Dept. of Forestry,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 Moon, Heung Kyu (Graduate School, Chungnam Natl. Univ.) ;
  • Park, Hong Joon (Dept. of Forestry,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김지문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임학과) ;
  • 권기원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임학과) ;
  • 문흥규 (충남대학교 대학원) ;
  • 박홍준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임학과)
  • Published : 1984.12.31

Abstract

Seasonal growth performances or root collar diameter and seedling height of Quercus acutissima.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were measured at regular intervals of 10 or 15 days after the treatments of some combinations of soil water regime ${\times}$ fertilization. The treatments of soil water regime and fertilization Influenced on the growth performances of seedlings differently with one another in course of time lapse. The growth performances reveal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il water regimes, between fertilizations and between their interactions after unlike time lapses by species. The effects of soil water regime were exhibited in retard compared with those of fertilization, and to be different outstandingly in the treatments of N or N+P+K fertilization. The limit of soil water potential influencing critically on the growth performances might be estimated to be in -3~-6 bar in all the species. The growth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 or N+P+K treatment and P or K treatment or control in all the species, and the treatment effects represented more great differences in moist soil water regime than in dry soil water regime. The interactions of soil water regime ${\times}$ fertilization were revealed s lowly with time lapse in all the treatments. The statistical differences of growth responses of root collar diameter according to the treatments were observed in earlier stage compared with those of seedling height. By comparison of the growth responses of the species studied, Q. variabilis and Q. mongolica seemed to be more resistant to moisture stress than Q. acutissima.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및 굴참나무의 근원경(根元徑)과 묘고(苗高)의 계절적(季節的)인 생육과정(生育過程)을 토양수분(土壤水分)${\times}$시비(施肥)로 구성(構成)되는 몇가지 처리(處理)를 한 후(後)에 10일(日) 또는 15일간격(日間隔)으로 조사(調査)하였다. 토양수분(土壤水分)과 시비처리(施肥處理)는 시간(時間)이 지나면서 서로 다르게 묘목(苗木)의 생육(生育)에 영향(影響)을 주었다. 그 생장(生長)은 수종별(樹種別)로 다른 시기(時期)에 수분처리간(水分處理間), 시비처리간(施肥處理間) 및 상호작용(相互作用)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적(有意的) 차이(差異)를 나타냈다. 토양수분(土壤水分)의 영향(影響)은 시비(施肥)에서 보다 늦게 나타났으며 N 또는 N+P+K 시비처리(施肥處理)에서 더욱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보여 주었다. 생장(生長)에 크게 영향(影響)을 주는 토양수분(土壤水分) potential의 한계(限界)는 모든 수종(樹種)에서 -3~-6bar안에 있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모든 수종(樹種)에서 N 또는 N+P+K의 처리(處理)와 P, K 또는 무처리간(無處理間)에 유의적(有意的)인 생육차이(生育差異)를 보였으며 처리(處理)의 효과(效果)는 건조구(乾燥區)보다 습구(濕區)에서 더 큰 차이(差異)를 나타냈다. 토양수분(土壤水分)과 시비(施肥)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은 모든 처리(處理)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나타났다. 처리(處理)에 따른 근원경(根元徑)의 생육반응(生育反應)에 대(對)한 통계학적(統計學的)인 차이(差異)는 묘고(苗高)에 비(比)해서 조기(早期)에 보여줬다. 대상수종(對象樹種)의 생육반응(生育反應)을 비교(比較)할 때 굴참나무와 신갈나무는 상수리나무에 비(比)하여 보다 내건성(耐乾性)인 것으로 볼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재단법인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