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어, Konosirus punctatus의 생식생물학적 연구

Reproductive Biology of a Shad, Konosirus punctatus(TEMMINCK et SCHLEGEL)

  • 김형배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 이택열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KIM Hyung-Bae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Taek-Yuil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84.05.01

초록

낙동강하구에 위치한 부산 다대포 앞바다에서 1982년 9월부터 1983년 8월까지 채집된 전어, Kenosirus punctatus(TEMMINCK et SCHLEGEL)를 대상으로 생식생물학적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어의 난소는 경골어류의 전형적인 낭상형이고 정소는 엽상형을 나타내고 있다. 2. 생식소숙도지수는 수컷과 암컷이 각각 5, 6월이 연중 최대값을 나타내며, 수컷이 한 달 빨리 최대값에 도달한다. 이들 생식소는 수온 상승과 함께 활성화되어 고수온기전에 산란기를 마친다. 3. 산란기를 지난 개체의 난소내에는 성장에 관여하지 않은 초기난모세포들이 휴지기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성장에 참여하고 있다. 4. 생식주기는 수온상승이 시작되는 3월부터 활성화되어 성장기를 맞이하며 $4{\sim}5$월에는 성숙기가 되고 6월에 접어들어 1달이내 단기간의 완숙 및 산란기를 맞게 된다. 이후 7월에서 이듬해 성장기까지 회복 및 휴지기 상태를 나타낸다. 5. 전어개체군들은 난경조성의 조사 결과, 한 산란기 동안 적어도 2회 이상 산란하는 다회산란종으로 밝혀졌다. 6. 비만도의 변화는 암${\cdot}$수 모두 방란${\cdot}$방정에 의한 감소보다 계절적 수온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먹이 섭취량에 더욱 의존되는 것 같다. 7. 전장 $17.0{\sim}18.0cm$에서 군성숙도 $50\%$ 이상에 달하며, $18.0{\sim}19.0cm$에서는 전개체가 성숙에 참여했다. 또 각각의 포란수는 179개/cm, 291개/cm로서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포란수도 증가한다. 8. 생식소 성숙에 따라 뇌하수체 GTH cell의 활성과 분포면적이 확대되고 있으며, 난황축적을 완료한 난모세포를 가진 완숙개체들은 GTH cell의 활성이 퇴화되고 그 분포면적이 줄어든다.

The gonadal development and gametogenesis of shad, Konosirus, punctatus (TEMMINCK et SCHLEGEL) were studied by comparing with various quantitative indices, such as seasonal changes of gonadosomatic index, fatness, egg-diameter composition, first maturing size, and by comparing with histological changes of gonad and gonadotrophs(GTH) in pituitary. The materials were monthly sampled from Dadaepo at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in Korea from September, 1982 to October, 1983. The ovary of shad is a pair of sac-shaped organs revered with a fibromuscular capsule and consisting of numerous sacs. The type of testicular structure is lobular type with development of germ cells, mesenchymal tissue on the lobuli. The gonadosomatic index (GSI) is rather low till March, but increases in April and reaches to peak in June in females and May in males. And it suddenly falls in July. The gonads become active on the increase of water temperature and spawning season ends before high water temperature. After spawning, the small oocytes continue to remain as they are untill the growing period next year. The reproductive cycle includes the successive stages of growing from March to April, mature from April to May, ripe and spawning in June, and recovery and resting from July to February next year. In egg-diameter composition of an ovary taken in the spawning season, 2-3 modes were recognized with some batches shown in an ovary. An individual shad spawns twice or more in a month-spawning season. The individual spawning interval is estimated to be ten days or less. Changes of fatness are corelated with those of water temperature that affect on the condition of feeding, but less corelated with spawning. The percentage of mature of female and male fish, are $50\%$ in 17.0-18.0 cm and $100\%$ in 18.0-19.0 cm. GTH cells are activated from growing period and decrease their activity at pre-spawning season with peak activity for mature peri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