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해협의 자치어 분포상

The Distribution of Fish Larvae in the Korea Strait

  • 김용억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KIM Yong Uk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84.05.01

초록

1983년 7월과 11월, 2차례에 걸친 대한해협에서의 자치어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한해협에서 채집된 자치어표본중에서 과, 속 또는 종의 계급까지 동정되어진 것은 27과 37속 38종이었다. 2. 어종별로 가장 많이 출현한 종은 E. japonica ($88.6\%$)였으며, 이어서 Diaphus sp.($1.7\%$), Gobiidae sp.($1.3\%$), Bothus sp.($0.7\%$)의 순이었다. 3. 계절별 수층별 출현경향을 보면, 여름철에는 표층에서 10종 2,397미, 중증에서 17종 895미였으며, 가을철에는 표층에서 7종 23미, 중층에서 26종 214미가 채집되어 표층보다. 중층에서 종이 다양한 경향이 있으며 특히 가을철의 중층은 가장 다양한 종조성을 나타내었다. 4. 계절별 우점종으로서는, 여름철에는 E. japonica, Gobiidae sp., T. lepturus 순으로 많이 출현하였으며, 가을철에는 Diaphus sp., E. japonica, Bothus sp., Ophichthidae sp. 순으로 나타났다. 5. 우점종의 계절별, 수층별 체장조성을 보면 E. japonica, Diaphus sp.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걸쳐 계속 출현하였으며 계절별로는 뚜렷한 체장범위의 차이는 없으나 대개 표층에서보다 중층에서 조금 큰 체장범위의 개체들이 출현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E. japonica는 비교적 넓은 수온, 염분범위에서 출현하였으며, 여름철 표층에서 수온 $20{\sim}24^{\circ}C$, 염분농도 $31{\sim}33\%0$ 범위에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가을철 중층에서는 큰 japonica, Diaphus sp., Bothus sp., Ophichthidae sp.가 모두 $18{\sim}23^{\circ}C$의 수온범위와 $32.5{\sim}34.3\%0$의 염분농도범위에서 출현하고 있었으나 그중 Ophichthidae sp.가 가장 고온, 고염 해역에서 분포하고 있었다.

Larvae of fishes were collected at 26 stations in the Korea Strait, by horizontal towings using the fish larval net (Norpac) in the surface layer and by oblique towings using Isaac-Kid mid-water trawl in the mid-water layer in summer (July) and in autumn (November), in 1983. The towing speed was 1.5 knots. Of the larval fish examined, 3,529 individuals were identified to generic and specific levels. They belong to 27 families, consisting of 38 species in 37 genera. Unidentified were 114 specimens. The most abundant species was Engraulis japonica which occupied $88.5\%$ of the whole 3,645 individuals. Diaphus sp. took the second place with 50 individuals ($l.3\%$). Seasonally abundant species were in the order of Engraulis japonica, a Gobid, Trichiurus lepturus, and Diaphus sp. in summer, and in the order of Diaphus sp., Engraxlis japonica, Bothus sp., and a Ophichthid in autumn. Of these larvae, Engraulis japonica and Diaphus sp. continuously appeared from summer to Autumn. Champsodon sp., Diaphus sp. and Synagrops philippinensis were unrecorded species in Ko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