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oaking on Expansion Volune of Gang Jung

찹쌀의 수침이 강정의 팽화부피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동방유량 주식회사) ;
  • 오명숙 (성심여자대학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85.12.01

Abstract

In this study, changes i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glutinous rice during various soaking periods (0, 0.08, 1, 3, 5, 7, 10 day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 ship between soaking period and expansion volume in the preparation of Gang Jung. The longer the soaking period was, the greater the expansion volume of Gang Jung was. Higher maximum viscosity and breakdown in amylogram of glutinous rice flour were observed as the soaking period was increased, As the length of soaking period increased, hardness of glutinous rice and size of flour particl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sweeling power and solubility of glutinous rice flou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creased length of soaking period was associated with higher fatty acidity, higher acidity of water extract and lower pH of glutinous rice flour. Control of flour particle size distribution resulted in significantly larger expansion volume of Gang Jung. Brabender's amylogram showed that the increase of expansion volume of Gang Jung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soaking period was related to the change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glutinous rice. It seemed that changes in viscometric properties of glutinous rice was attributed to the different flour particle size distribution resulted from changes in hardness of rice during soaking.

강정의 제조과정중 찹쌀의 수침이 팽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찹쌀을 0, 0.08, 1, 3, 5, 7, 10일 수침의 7단계로 분류하여 수침중 원료찹쌀에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제 변화와 팽화와의 관련을 살펴 보았다. 수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3일(日) 수침까지는 팽화부피가 크게 증가했으나 그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amylogram 점성에 의하면 수침기간의 경과에 따라 호화온도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최고점도 breakdown은 대체로 증가했다. 수침쌀의 경도는 3일(日) 수침까지는 기간별로 낮아지는 현상이 뚜렷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약간의 저하만을 나타내었다. 가루의 입도분포 역시 3일(日) 수침까지는 수침기간이 길어질수록 미세입자가 증가 했으나 3일(日) 이후에는 거의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수침기간에 따른 팽윤도 용해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수침기간이 길어질수록 지방산도 물추출산도는 증가, pH는 감소하였다. 가루의 입도분포를 조정시킨 경우 팽화부피에 현저한 증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수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팽화부피가 커지는 것은 amylogram의 점성거동 변화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은 물성 변화에 의하는 바 크리라고 생각되며 이러한 점성거동 변화는 수침에 따른 가루의 입도 분포 변화가 크게 관여하고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