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産 플라나리아(Dy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表皮上皮細胞의 微細構造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al Epidermis of Korean Planaria (Du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 발행 : 1985.07.01

초록

실험에 사용한 플라나리아는 Dugesia japonicia Ichikawa et Kawakatsu로서 核型分析에 의하여 種을 확인하였다. 이 種의 表皮上皮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세포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특징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行하였다. 세포화학적 방법으로는 hematoxylin-eosin, periodic acid-schiff(PAS)反應, alcian blue(pH 2.5), PAS-alcian blue反應 그리고 methylene blue-basic fuchsin 등으로 염색을 시행하였고, 체표면을 走査電子顯微鏡으로, 또한 各部位의 微細構造를 透過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플라나리아의 表皮는 單層圓桂形上皮로 되어 있었고, 상피를 구성하는 세포들은 형태학적 및 세포화학적 특성에 의하여 6類型의 세포들도 區分되었다. 1) 纖毛上皮細胞 (Ciliated epithelial cell) : microtubule 배열이 9+2型인 섬모를 가지고 있었다. 2) 好酸性細胞(Eosinophilic cell) : 세포질에 소수의 큰 好酸性 顆粒을 가진 세포로서, 전자 현미경하에서는 顆粒들은 棒狀形이고, 전자밀도가 매우 낮은 基質에 섬유상 구조물이 분산되어 있었다. 3) 粘液細胞(Mucous cell) : 세포질에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다양한 모습의 과립($0.8\\times0.3 \\muM$) 들이 충만되어 있었다. 4) 棒狀體形成細胞(Rhabdite-forming cell) : 세포질쪽에 매우 강한 eosinophilia를 나타내는 다양한 크기의 棒狀體顆粒을 한 개 혹은 여러개 가지고 있었으며, 顆粒의 전자밀도는 높았다. 5) A型 好鹽基性顆粒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A) 背腹部 상피에서 관찰되었고 그 세포질에는 alcian blue(ph2.5)에 강하게 염색되는 $1.5\\times1.0 \\mum$의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과립들은 형태가 球形에 가깝거나 혹은 불규칙형이였고 전자밀도가 높았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柔組織에서 基底膜은 通過하여 表皮上皮로 이동되었다. 6) B型 好鹽基性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B) 兩側部의 表皮上皮에서 관찰되었으며 세포질에는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0.7\\times0.4 \\mum$의 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包含하고 있었다.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과립들의 형태는 비교적 불규칙하였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역시 柔組織에서 표피로 이동되었다.

The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al epidermis of Korean planaria (Dugesia japonica) is studied by light microscop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planaria has mono-layered integumental epidermis in which most of cells exhibit irregularly columnar shape. The epidermal cells of the integument are classified into six types on the basis of cy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1) Ciliated epithelial cells: These cells have cilia in their free surfaces. The axonemes of cilia exhibits fundamental 9+2 microtubular pattern. 2) Eosinophilic cells: These cells contain a few large eosinophilic granules. The core of eosinophilic granule is consisted of sparsely dispersed fibrillar structures in relatively electron-lucent ground material. 3) Mucous cells: These cells are filled with irregularly shaped, PAS-positive mucous granules which have an average size of $0.8\\times0.3 \\muM$. 4) Rhabdite-forming cells: These cells possess a few strongly-eosinophilic large rhabdite granules. The rhabdite granules are synthesized either in the rhabdite-forming cells which constitute integumental epidermis or in the corresponding cells which are developed in the parenchyma and later transferred to epidermal cells of integumental epidermis through basement membrane. 5) A-type of basophilic granule cells: These granule cells possess round or irregularly-shaped granules which are strongly stained with Alcian blue. These electron-dense granules have an average size of $1.5\\times1.0 \\muM$. This type of cells is derived from parenchymal tissue. 6) B-type of basophilic granule cells: These basophilic granule cells with PAS-positive granules, are found in the epidermis of lateral body wall. The granules, which are about $0.7\\times0.4 \\muM$ in size, occupying most part of this cell type are originated from the parenchym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