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ogressive Sampling Method Using Contour Lines

등고선(等高線)을 이용(利用)한 표본추출법(標本抽出法)에 관한 연구(硏究)

  • 이석찬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신봉호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정성호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
  • 조영호 (인덕공업전문대학)
  • Received : 1985.03.29
  • Published : 1985.06.30

Abstract

In Digital Terrain Model(DTM), more accurate data acquisition method is of importance. This paper has the purpose of accuracy analysis of progressive sampling method, one of data acquisition method. Especially, The following in accuracy analysis are compared and analyzed. -Comparison and analysis for position error between the digital contour lines using digital terrain model and the conventional contour lines using A-10 Plotter. -Analysis for height error of interpolation points according to application of progressive sampling method. For above numerical tests, Computer Program related to auto-carto of contour lines was made up. As a result of tests, threshold and sampling criterion have close of mutual relation to accuracy.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auto-carto of contour lines-threshold of 1.0 m and standard criterion-almost concurred in conventional contour lines.

수치지형모형(數値地形模型)(Digital Terrain Model)을 제작(製作)하는데 있어서 보다 더 정확(正確)한 지형정보(地形情報)의 획득방법(獲得方法)이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本) 논문(論文)은 지형정보(地形情報)를 획득(獲得)하는 방법(方法)의 하나인 밀도증가식(密度增加式) 표본추출방법(標本抽出方法)의 정확성(正確性) 분석(分析)에 그 목적(目的)을 두었다. 특히, 정확성(正確性) 분석(分析)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은 사항(事項)에 대(對)해 비교분석(比較分析)하였다. - 도화기(圖化機)에 의해 작도된 종래(從來)의 등고선(等高線)(Conventional Contourlines)과 밀도증가식(密度增加式) 표본추출방법(標本抽出方法)을 이용(利用)하여 작도(作圖)한 수치등고선(數値等高線)(Digital Contourlines)과의 위치오차(位置誤差)에 대(對)한 비교분석(比較分析) - 밀도증가식(密度增加式) 표본추출방법(標本抽出方法)의 적용(適用)에 따른 보간점(補間點)에 대(對)한 표고오차(標高誤差)의 분석(分析) 위의 수치시험(數値試驗)을 위하여 등고선(等高線)의 자동작도(自動作圖)에 관한 전산(電算)프로그램을 작성(作成)했다. 시험결과(試驗結果)와 시산치(試算値)와 추출조건(抽出條件)은 정확도(正確度)와 밀접(密接)한 관계를 가지며, 특히 시산치(試算値) 1.0 m이고, 표준형(標準形)인 추출조건(抽出條件)에서는 종래(從來)의 등고선(等高線)과 거의 일치(一致)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