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악지(山岳地)에 분포(分布)한 토양특성(土壤特性)의 변이분석(變異分析)

Variation of Soil Characteristics in Mountainous Area

  • 심사 : 1985.08.03
  • 발행 : 1985.10.25

초록

우리나라의 산악지(山岳地)에 분포(分布)한 토양(土壤)의 단위위치별(單位位置別) 대표단면(代表斷面)의 토양특성(土壤特性)에 대(對)하여 분류단위수준내(分類單位水準內) 변이성(變異性) 및 순수성(純粹性)을 분석(分析) 검정(檢定)하고, 특정(特定) 신뢰구간(信賴區間)에서 주어진 정도내(精度內)에 요구(要求)되는 표본(標本)크기를 결정(決定)하고자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물리성(物理性), pH,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 및 유기물(有機物)의 변이성(變異性)은 적었으며, 표토(表土)의 변이성(變異性)은 심토(心土)보다 낮은 경향(傾向)이었음. 2. 대수정규분포(對數正規分布)를 나타내는 토양특성(土壤特性)의 산술평균(算術平均)값이 수정(修正)되었음. 3. 토양특성(土壤特性)의 변이성(變異性)은 고차분류단위(高次分類單位) 일수록 감소(減少)하였으며, 저변이군(低變異群)에 속(屬)하는 토양특성(土壤特性)은 고변이군(高變異群)보다 약(約) 3~4배(倍) 이상(以上) 토양관리(土壤管理)에 의(依)해 영향(影響)을 적게 받았음. 4. 분류단위수준별(分類單位水準別) 순수성(純粹性)은 목 (目) 73.9, 대군(大群) 56.7, 그리고 통(統) 47.4% 이었음. 5. 유의수준(有意水準) 0.05에서 모평균(母平均)의 10, 20% 정도(精度)를 추구(推求)하는 데 요구(要求)되는 표본(標本)크기가 결정(決定)되었음.

Variability of soil characteristics and purity were statistically summarized within mapping units and estimates were given for sample sizes required to reach predetermined levels of accuracy in mountainous area soils. Total variances within mapped soil series (expressed as CV): 30-60% for physical properties and CEC relatively affected by management and 80-230% for chemical properties except for pH affected by management. Means of some chemical properties were estimated on the assumption of log-normal distribution. These soils were correctly classified with regard to order at 73.9, to great group 56.9, and to series 47.4%. Approximate sample sizes required to detect the difference of 10 and 20% of the true mean with 0.95 confidence level were presen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