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ty Acid Composition of Salted and Fermented Sea Foods on the Market

시판젓갈류의 지방산 조성

  • Lee, Eu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Oh, Kwang-S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Tae-Hu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Ahn, Chang-Bum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a, Young-Ju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이응호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오광수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이태헌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안창범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차용준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6.02.01

Abstract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s extracted from 18 kinds of salted and fermented sea foods which have been consumed in Korea were examined. The lipid contents of salted and fermented sea foods showed wide difference (0.8-11.9%) depending on species and portions of raw materials.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salted and fermented sea foods prepared with whole fishes, the saturated fatty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component, and the major fatty acids were 16:0, 18:1, 22:6, 16:1 and 20:5. In case of salted and fermented products prepared with gills, roe or intestines, the polyenoic fatty acid was the main component, the major fatty acids were 18:1, 16:0, 22:6, 20:5, 16:1 and 18:3. In these products the composition ratios of 20:5 and 18:3 were higher, and that of 16:0 and 16:1 were slightly lower as compared with salted and fermented whole fish products. And in case of salted and fermented crustacea and mollusk, the polyenoic fatty acids such a 22:6 and 20:5 were the most predominant component, the abundant fatty acids were 22:6, 16:0, 20:5, 18:1 and 16:1. Judging from results, salted and fermented sea foods were abundant of the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20:5, 22:6 inspite of the long fermentation periods.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에 과한 일련의 연구로서 각종 시판젓갈류의 지방산조성을 분석 검토하였다. 주둥치젓, 밴댕이젓, 멸치젓, 조기젓, 정어리젓, 볼락젓 및 매가리젓 등 7종의 어채를 원료로 한 젓갈류는 지방함량이 $1.9{\sim}10.2%$였고, 전반적으로 16:0산을 주체로 하는 포화산의 비율이 $34.6{\sim}45.1%$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모노엔산, 폴리엔산의 순이었다. 그리고 주된 구성지방산은 16:0, 18:1. 22:6, 16:1 및 20:5산 등이었다. 어패류의 아가미, 내장기관, 생식소를 원료로 한 젓갈, 즉 대구아가미젓, 창란젓, 명란젓, 갈치내장젓, 전어밤젓 및 성게알젓 등의 지방함량은 $1.5{\sim}11.9%$였는데, 그 중 갈치내장젓의 지방함량이 11.9%로서 가장 많았다. 전어체를 원료로 한 젓갈에 비해 폴리엔산의 비율이 $27.9{\sim}48.3%$로 높았으며 20:3 및 18:3산의 조성비가 높고, 16:0, 16:1산으로서는 18:1, 16:0. 22:6, 20:5, 16:1, 및 18:3산 등이었다. 갑각류 및 연체류를 원료로 한 젓갈 즉 새우젓, 게젓, 오징어젓, 꼴뚜기젓 및 바지락젓의 지방함량은 $0.8{\sim}2.1$로 다른 젓갈에 비해 함량은 적은 편이었다. 지방산조성은 폴리엔산의 비율이 $37.0{\sim}55.6%$로 특히 높았으며, 오징어젓 및 꼴뚜기젓의 경우 그 함량이 전체지방산의 절반이상을 차지하였다. 주요구성지방산으로서는 종류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22:6, 16:0, 20:5, 18:1 및 16:1산이 대체적으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시판젓갈류의 지방함량 및 지방산조성은 원료어패류의 종류 및 사용부위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장기간 숙성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폴리엔산의 비율이 높았고, 20:5 및 22:6산 등의 ${\omega}3$계 장쇄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