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Cooking of Marine Products Polluted with Mercury -(II) See weeds-

수은(水銀)으로 오염(汚染)시킨 해산물(海産物)의 조리(調理)에 따른 변화(變化) -(II) 해조류(海藻類)-

  • Published : 1986.06.30

Abstract

The typical sea-weeds such as laver, Sea tangle, tangle have been artificially polluted to measure the contents of mercury through the cooking methods of washing and immersion in acetic acid. The content of mercury of non-mercury treated laver sold in the market is $0.052{\pm}0.002\;ppm$, sea tangle, $0.048{\pm}0.005\;ppm$, and tangle, $0.078{\pm}0.010ppm$. Tangle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pollution after 24 hours immersion in the 1ppm mercury solution, to be followed by sea tangle and laver. The effect of solution and dehydration in economic sense is in the order of Sea tangle, tangle and laver. In case of initial immersion in 1ppm $HgCl_2$ solution to be reimmersed in 1%, 3%, and 5% of HAC solution the residue mercury does not show much effect in density in laver, sea tangle and tangle.

해조류(海藻類) 중에서 대표적인 김, 다시마, 미역을 대상으로 인위적(人爲的)으로 오염(汚染)시킨 다음 수세(水洗), 초산침지(醋酸浸漬) 등 조리법(調理法)을 달리할 때 수은함량(水銀含量)의 변동(變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은처리(水銀處理)를 하지 않은 시판(市販) 김 중의 수은함량(水銀含量)은 $0.052{\pm}0.002\;ppm$이며, 다시마는 $0.048{\pm}0.005\;ppm$, 미역은 $0.078{\pm}0.010ppm$이었다. 2. 1ppm의 수은용액(水銀溶液)에 24시간(時間) 침지(浸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오염상태(汚染狀態)를 보인 것은 미역이고 다음은 다시마, 김의 차례였으며, 수세(水洗)에 따른 경시적(經時的)인 용탈효과(溶脫效果)는 다시마>미역>김의 순(順)이었다. 3. 1ppm의 수은용액(水銀溶液)에 침지(浸漬)한 후 1%, 3%, 5%의 초산용액(醋酸溶液)에 침지(浸漬)한 경우 수은(水銀) 잔존량(殘存量)은 김, 다시마, 미역 모두가 농도(濃度)에 따른 큰 영향을 볼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