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Margarines

국산 마가린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 김정원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황인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안승요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86.08.01

Abstrac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12 randomly selected Korean margarines were determined, which were stored within one month since manufactured. Average moisture and fat contents of margarines were 15.09% ana 77.92% respectively. Melting point was ranged from 33.23$^{\circ}C$ to 42. 13$^{\circ}C$.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were very low. iodine value was ranging from 59.65 to 86. 05.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using the data of fatty acid composition, margarine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package condition, soft and hard type, were also classified into the same two groups. This probably implies that the raw materials of margarines between two groups were not the same. O1eic acid (18:1) and palmitic acid (16:0) in soft and hard type margarines respectively were the highest. Linoleic acid (18 : 2) contents showed large differences among margarines. Most of the margarines had little linolenic acid (18:3) . Generally essential fatty acid contents of Korean margarin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ast but they didn't reach the levels of margarines made in some foreign countries.

제조된 지 1개월 이내의 국산 마가린 12가지를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였다. 마가린은 평균 15.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었고, 지방 함량은 평균 77.92%이었다. 융점은 평균 $36.18^{\circ}C$로써 $^33.23~42.13{\circ}C$ 의 넓은 분포를 보여 제품간의 차이가 심했다. 산가, 과산화물가 등도 모두 매우 낮게 나타났다. 요오드가는 59. 65~86. 05의 넓은 분포를 보였다. 포장형태에 따라 임의로 분류했던 연질형과 경질형 마가린들은, 집락분석 결과 지방산 조성에 따라서도 같은 두 그룹으로 분류되어, 이들의 원료에 차이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연질형 마가린은 올레산(18:1)을, 경질형 마가린은 팔미트산(16:0)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필수지방산 함량은 제품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리놀렌산(18:2)의 평균함량은 13. 11%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마가린들은 리놀렌산(18:3)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았다. 과거보다 마가린의 필수지방산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아직 구미 각 국의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