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ment of Soil Hardness for Puddling Soil for Mechanical Rice Transplantation

기계이앙(機械移秧) 준비답(準備畓)의 토양경도(土壤硬度) 측정(測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Hong Yun (Graduate School, Chungnam Nat'l Univ.) ;
  • Kim, Soung Rai (Dept. of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 Kim, Ki Dae (Dept. of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김홍윤 (충남대학교 대학원) ;
  • 김성래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기계공학과) ;
  • 김기대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기계공학과)
  • Published : 1986.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appropriate types of drop cone for measuring soil hardness and to determine the cone index for the actual field on which rice will be transplanted. One type of drop cone was selected from the results of indoor tests and the selected drop cone was tested at the 56fields of the five different district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one type D shows a significant penetrating depth variation comparing the other types of cone on the indoor tests. 2. Six types of cone were tested on the similar state of the actual puddling field. The penetrating depth variation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cones but cone type F seemed to be suitable to evaluate the state of puddling because cone type F showed the least repeat variations during the tests. 3. The actual field test from 56 fields showed that the penetrating depth was approximately 11.0-14.4cm on the puddling day and it was 9.2-13.7cm on the transplanting day of which one to three days after puddling. 4.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selected drop cone could be used to formulate the state of puddling.

무논에서 쇄토작업후(碎土作業後)에 토양경도(土壤硬度)를 측정(測定)할 수 있는 낙하식(落下式) 원추형(圓錐形) 토양경도기(土壤硬度器)를 설계(設計) 제작(製作)(6종(種))하여 이를 공시(供試)콘(cone)으로한 1, 2차(次)의 기초실험(基礎實驗)을 통(通)하여 1개(個)의 콘을 선정(選定)한 다음, 이로써 전국(全國) 5개지역(個地域), 56개(個) 측점(測點)에서 이앙당시(移秧當時)의 토양경도(土壤硬度)를 콘의 관입심(貫入深)으로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차(次) 실험(實驗)에서 4종(種)의 공시(供試)콘을 만들어 답토양(沓土壤)을 3유형(類型)의 토괴(土塊) 토양(土壤)으로 나누어 콘의 관입심(貫入深)을 비교(比較)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A, B, C 콘 사이에는 차이(差異)가 없었고, D콘만이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2. 2차(次) 실험(實驗)에서 2종(種)의 공시(供試)콘을 추가제작(追加製作)하여 1차(次) 실험(實驗)에서 사용(使用)한 공시(供試)콘과 함께 쇄사(碎士) 정지(整地)한 상태(狀態)의 답토양(沓土壤)에서 콘의 관입심(貫入深)을 비교(比較)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D콘만 차이(差異)가 있었고 나머지 A, B, C, E, F 콘 사이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나, 이 중에서 반복간(反覆間)에 변화(變化)가 적은 F콘을 선정(選定)하였다. 3. 전국(全國) 5개지역(個地域) 56개(個) 포장(圃場)의 로우터리에 의(依)한 써래질 작업(作業) 직후(直後)의 토양경도(土壤硬度)는 공시(供試) cone의 관입심(貫入深)으로 11.0~14.4cm이며 평균(平均) 13.0cm로 나타났으며, 한편 이앙당시(移秧當時)는 9.2~13.7cm로 평균(平均) 11.2cm로 나타났다. 4.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와 같이 이앙(移秧) 준비(準備)를 위(爲)한 써래질 작업(作業) 직후(直後)의 과다(過多)한 쇄토작업(碎土作業)은 토성(土性)에 따라 차이(差異)는 있으나 1~3일간(日間) 침지(沈地)시켜야만 동력(動力) 이앙기(移秧機)의 사용(使用)이 가능(可能)한 점을 본(本) 연구(硏究)에서 개발(開發)한 토양경도계(土壤硬度計)에 의(依)해 충분히 계측수량화(計測數量化)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