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ial Freezing에 의한 어육의 선도유지 효과에 대하여 2. Partial Freezing에 의한 붕장어 및 방어의 선도 및 어묵형성능의 변화

Effect of Partial Freezing as a Means of Keeping Freshness II. Changes in Freshness and Gel Forming Ability of Conger Eel and Yellowtail during Storage by Partial Freezing

  • 이용우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박영호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안철우 (부산전문대학 식품가공학과)
  • LEE Yong-W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PARK Yeu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AHN Cheol-Woo (Department of Food Processing, Pusan Junior College)
  • 발행 : 1986.01.01

초록

붕장어와 방어를 시료어로 하여 이것을 빙장, partial freezing 및 동결 저장을 하여 두고 저장 중의 시료어의 pH, VBN 및 K 치의 변화, 지질의 POV와 TBA 치의 변화 및 육단백질의 조성변화를 분석하여 partial freezing에 의한 선도유지효과를 검토하고, 붕장어에 대하여는 저장기간 별로 어묵을 제조하여 겔강도, 절곡강도, 압출수분율 및 texture 등을 측정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시료어육의 어묵형성능의 유지효과도 검토하였다. 1. 저장 중의 시료어의 pH가 최저치에 달하는 기간은 동결 저장, partial freezing 및 빙장의 순으로 길었다. VBN의 변화는 붕장어를 빙장한 경우, 저장 9 일째 이후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partial freezing과 동결 저장의 경우에는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거의 없었다. 방어는 partial freezing 및 동결 저장의 경우에도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저장 중의 K치의 변화에 있어서, 9 일간 partial freezing한 경우, 붕장어는 $13\%$, 방어는 $26\%$를 나타내었으며, 동결 저장의 경우에는 두 시료어 모두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저장 중의 K치의 증가속도는 숭어보다 다소 완만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3. TBA치의 변화에 있어서, 붕장어 및 방어를 빙장한 경우에는 저장기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동결 저장의 경우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Partial freezing의 경우, 붕장어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방어는 초기에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POV의 변화에 있어서는, 붕장어와 방어의 증가폭이 빙장, partial freezing 및 동결 저장 순으로 켰으며, 방어가 붕장어에 비하여 증가속도가 다소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저장 중의 단백질조성의 변화는 붕장어와 방어의 근원섬유단백질이 저장 9 일째에 생시료에 대하여 빙장의 경우는 각각 약$25%$, 약 $16\%$, partial freezing의 경우는 시료어 모두가 약 $10\%$ 감소하였으며, 동결 저장의 경우에는 저장 15 일째에 각각 약 $11\%$$4\%$ 감소하였다. 알칼리 가용단백질은 저장 9일째에 붕장어와 방어가 빙장의 경우, 각각 약 6.3배, 약 3.3배, partial freezing의 경우 약3.4배, 약 1,7배, 동결 저장의 경우에는 저장 15 일째에 각각 약 3.2배 및 약 1.5배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으로 붕장어가 방어에 비하여 변화폭이 켰는데 숭어에 비해서는 붕장어가 켰으며, 방어는 적었다. 5. 붕장어를 저장 조건 별로 제조한 어묵의 겔강도, 절곡강도 및 texture의 저장기간에 따른 감소율은. 빙장의 경우가 가장 컸고, partial freezing및 동결 저장의 경우가 다소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10 일간 저장한 시료어로 제조한 어묵의 겔강도는 빙장을 한 것이 대조구의 것의 약 $35\%$, partial freezing을 한 것이 약 $74\%$, 동결 저장한 것은 약 $76\%$를 나타내었다. 어묵의 압출수분율은 10일간 저장한 시료어의 경우, 빙장한 것이 약 1.6배, partial freezing을 한 것이 약 1.2배, 동결 저장을 한 것이, 약1.1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는데, 저장기간에 따른 물성의 변화는 숭어에 비하여 붕장어가 적었다.

In succession to the previous paper, the present study was dire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eeping freshness of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and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by partial freezing, and the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fish meat paste product prepared with the muscle of conger eel during storage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eriod of keeping freshness (days in which k value reaches $20\%$) of conger eel and yellowtail by partial freezing was 10 days and 6 days, respectively. VBN content in the conger eel muscle showed 39.5 mg/100g by icing for 15 days, and did not show a great change by partial freezing and freezing, while that of yellowtail muscle reached at 32 mg/100g by icing, 20 mg/100g by partial freezing and 18 mg/100g by freezing for 15 days. The lipids extracted from the muscles of both fishes by icing were remarkably oxidized than those by partial freezing. The myofibrillar protein in the conger eel muscle during storage for 9 days decreased $3\%,\;10%\;and\;11\%$ by icing, partial freezing and freezing, respectively, and that of yellowtail muscle did $16\%,\;10%\;and\;4\%$ by icing, partial freezing and freezing,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alkali-soluble protein in both fishes increased with storage time. Gel strength of fish meat paste product prepared with the muscle of conger eel decreased to $35\%$ by icing, $74\%$ by partial freezing and $76\%$ by freezing for 10 days compared to control, and the expressible water increased 1.6 times, 1.2 times and 1.1 times by icing, partial freezing and freezing, respectively, as much as that of control produc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