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미, Agrammus agrammus의 성성숙에 따른 간세포의 활성변화

Changes of the Activity of the Liver Cells Accompanied with the Reproductive Cycle of Greenling, Agrammus agrammus(Temminck et Schlegel)

  • 정의영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 김형배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 이택열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CHUNG Ee-Yung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Hyung-Bae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Taek-Yuil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86.01.01

초록

1983년 9월부터 1984년 8월까지 부산시 해운대 동백섬의 조간대에서 채집된 노래미. Agrammus agrammus를 대상으로 생식소의 발달과 간의 활성변화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간숙도지수(HSI)의 연간변화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생식주기에 따른 간세포의 활성변화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간숙도지수(HSI)의 연간변화는 수컷의 경우 뚜렸하지 않으나 암컷의 경우는 추계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난소가 성숙하는 동계에 최대에 이른다. 암컷에 있어서 난모세포들이 난황물질을 축적하는 시기에는 간세포들의 크기는 점차로 커지며 핵과 인도 역시 커진다. 이때에 글리코겐과 지방적들의 양은 점차로 감소되나 호염기성의 핵산물질(RNA)은 증가된다. 또한 간세포질내에는 조면소포체들이 발달 증가하는데 이들은 단백질합성과 vitellogenin 축적에 관여하고 핵근처에 나타나는 골지체는 lipoprotein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방난 직전의 암컷의 간세포질내에는 글리코겐과 지방적들이 급격히 감소되나 호염기성물질(RNA)은 세포질의 주변구역에서 특히 고농도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방난 이후에는 이와 반대의 현상이 관찰된다. 수컷의 경우는 성적으로 성숙해 감에 따라 간세포질내에 호염기성물질이 점차로 증가하며, 암컷과 달리 글리코겐과 지방적의 양도 다량으로 관찰된다. 반면, 방정기 이후에는 간세포질내의 호염기성물질은 감소된다.

The activity of the liver cells of greenling, Agrammus agrammus were histologically investigated under photo-and electron microscopy, and studied by comparing seasonal changes of hepatosomatic index (HSI). The materials were monthly collected at the costal area of Tongbaeksom, Pusan, Korea, from September 1983 to August 1984. The annual variations of HSI of male were not distinct, but those of HSI in female began to increase in autumn, and reached the maximum in winter when the ovary was getting mature. During the period of yolk accumulation in the oocytes, the female liver and its hepatic cells were seen to large and nuclei and nucleoli were hypertrophic also. At this time the amounts of glycogen and lipid in the cells gradually decreased, while basophilic substance (RNA) increased. And well-developed granular endoplasmic reticula binding ribosomes were supposed to play the leading role in protein synthesis and deposition for vitellogenin in the cystoplasm. Just prior to spawning, glycogen and lipid droplets were decreased, but basophilic substances(RNA) were found in a high concentration especially at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liver cells of females. In the liver cells of males, were hardly altered by gonadal maturation, basophilic substances gradually increased, glycogen particles and lipid droplets were still observed in large quantities. After spawning, basophilic subtances decreased in the liver cells of female and ma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