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척도에 의한 대학신입생의 정신건강 평가

A Study on Depression in College Freshmen

  • 이종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서혜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정성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Lee, Jong-Bum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uh, Hye-Soo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eung, Seung-Dou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1986.06.30

초록

영남대학교 신입생 4834명(남학생 : 3499명, 여학생 : 1335)을 대상으로 1986년 1월부터 1986년 2월까지 Zung의 자가평가 우울척도를 사용하여 우울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울성적의 평균총점은 남학생이 $35.68{\pm}7.46$이었고 여학생은 $38.93{\pm}7.26$으로 여학생이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다(P<0.001). 우울의 항목별 성적은 남녀 대학생 모두에게 우유부단, 정신운동지연, 혼동, 성욕감퇴, 하루 중 감정변동 등의 성적이 높았고 자살의도, 정신운동흥분, 우울감, 빈맥 등의 성적이 낮았다. 우울성적의 분포는 50점이상의 고득점자가 남학생이 161명(4.6%), 여학생이 117명(8.8%)로 여학생에서 높은율을 보였다. 우울성적과 관련된 사회정신의학적 요인들 중 남녀학생에게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친것은 가정환경, 소속대학 선택과 현 소속학과에 대한 불만족(각각 p<0.001, p<0.001, p<0.001) 및 과거 현재 미래의 자아상에 대해서 비관적인 경우(각각 p<0.001, p<0.001, p<0.001)와 부모에 대한 친숙도에 대해서 불만인 경우 (P<0.001)에서 유의하게 높은 우울성적을 보였다. 여학생에서 소속학과가 Liberal arts인 경우 유의하게 높은 우울점수(P<0.01)를 보였다. 과민성, 피로, 빈맥 동의 우울척도항목과 불안, 피로, 심계항진 등의 불안척도항목들이 상관계수 0.40이상으로 서로 상관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The authors studied depression using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in the subjects of 3,499 male and 1,335 female college freshmen of Yeungnam University. The authors collected the reports of SDS during the periods from January to February, 1986, and applied ANOVA and t-test on depression scores in order to compare them between various psychosocial factors, and sex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averages of total depression scor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scored 35.68+7.46, female students scored 38.93+7.26(P<0.001). The depression scores relating to the items of indecisiveness, psychomotor retardation, decreased libido, and diurnal variation were relatively higher in both groups. One hundred and sixty-one male students(4.6%) showed seriously high degree depression scores of 50 or higher, while one-hundred and seventeen female students(5.8%) showed the same scores. Female students attending in liberal arts show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scores(P<0.01).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ward higher depression scores in the student who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home atmosphere, colleges, department and familiarity of parents, and those who had pessimistic views of self image in the past, present or future in both groups(P<0.001).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