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아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Macrosomia

  • 이강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 김종욱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 이태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 박완석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 이승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 정원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Lee, Kang-Wo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age of Medicine, Youngnam University) ;
  • Kim, Jong-Wook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age of Medicine, Youngnam University) ;
  • Lee, Tae-Hyung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age of Medicine, Youngnam University) ;
  • Park, Wan-Seok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age of Medicine, Youngnam University) ;
  • Lee, Sung-Ho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age of Medicine, Youngnam University) ;
  • Chung, Wun-You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age of Medicine, Youngnam University)
  • 발행 : 1986.06.30

초록

1983년 5윌 9일부터 1986년 10월 27일까지 약 3년 6개윌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체중 4,000gm 이상의 거대아를 분만한 산모의 병상기록을 중심으로 거대아 임신에 관계되는 요인과 출산에 따르는 문제점을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거대아의 빈도는 체중 4,000gm 이상이 2.8%, 4,500gm 이상이 0.16%이었다. 2. 거대아의 성비는 남아가 65.9%로 전체 신생아의 남아비 53.5%보다 유의성있게 높았다(P<0.05). 3. 임신기간에 따른 거대아 분만 빈도는 임신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이민 42주와 43주 이상에 출생한 신생아의 분포도 거대아군이 각각 33.3%와 16.6%로 전체 산모에서의 분포 14.2%와 6.2%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1). 4. 산모의 출산회수에 따른 거대아 분만 빈도는 출산회수가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초산부(2.35%)와 경산부(3.74%)의 비교에서도 경산부의 거대아 분만빈도가 유의성있게 높았다(P<0.01). 5. 산모의 연령에 따른 거대아 분만빈도는 24세이하, 25~29세, 30세이상에서 각각 2.4%, 3.0%, 2.5%로 차이가 없었다. 6. 거대아의 제왕절개 분만 빈도 30.8%와 흡인 및 감자분만 빈도 31.9%는 기간중의 전체적인 빈도 15.7%와 1.7%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았다(P<0.01과 P<0.05). 7. 거대아의 임신 및 출산에 따르는 모성 합병증으로는 산전 빈혈(24.2%), 산후 출혈(11.0%), 산도 손상(10.0%), 분만 제2기의 지연(7.7%)등이 있었으며 모성사망 및 자궁파열의 예는 없었다. 8. 태아 및 신생아 합병증으로는 태아가사 10예(11.0%), 견갑난산 2예, 자궁내 태아사망과 천미골 기형종 각각 1예가 있었다.

Obstetric problems concerning macrosomia were evaluated by retrospective review of 91 pregancies that resulted in the delivery of an infant weighing 4,000gm or more at th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during 3 1/2 years from Jun. 1983 to Oct. 1986.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Macrosomic infants weighing 4.000gm or more occured in 2.8% of the deliveries. 2. 65.9% of macrosomic infants and 53.5% of total infants were male. The ratio of male was statistically higher in the macrosomic infants than in the total infants(P<0.05). 3. The incidence of macrosomia was higher with increasing qestational age, and deliveries at 42 weeks or more gestation were more common in the macrosomic infants than in the total infants(P<0.01). 4. The incidence of macrosomia was highter with increasing parity, and stastically higher in the multipara than in the primipara(P<0.01). 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macrosomia between the mothers aged 24 or less and that of 30 or more. 6. The cesarean section rate of macrosomia(30.8%) was stastically higher than that of the total infants(15.7%)(P<0.01) 7. With the pregnacy and delivery of macrosomic infants, 22 antepartum anemia(24.2%), 10 postpartum hemorrhage(11.0%), 9 birth canal injury(10.0%), 7 prolonged second stage of labor (7.7%), 4 breech presentation, and 3 pregancy induced hypertension occured in the mothers, and 10 asphyxia(or Apgar score 6 or less), 2 shoulder dystocia, 1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1 sacrococcygeal teratoma occured in the infant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