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aration of EPA and DHA from Fish Oil by Solubility Differences of Fatty Acid Salts in Ethanol

에탄올에 대한 지방산염의 용해도 차를 이용한 EPA와 DHA의 농축방법

  • Han, Dae-Seok (Food biochemistry Laboratory,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Ahn, Byung-Hak (Food biochemistry Laboratory,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Shin, Hyun-Kyung (Food biochemistry Laboratory,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한대석 (한국과학기술원 식품생화학연구실) ;
  • 안병학 (한국과학기술원 식품생화학연구실) ;
  • 신현경 (한국과학기술원 식품생화학연구실)
  • Published : 1987.10.01

Abstract

Fatty acid fraction rich in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mega}-3$, PUFA), especially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could be obtained by saponification of fish oil in ethanol containing alkali hydroxide followed by cooling and filtration of the resultant soluti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fish oil and the concentrates suggest that the ratio of number of double bonds to carbon number in a fatty acid molecule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the degree of unsaturation or the chain length in determining the solubility of fatty acid salts in ethanol. Water content in ethano1 affected significantly the efficiency of the separation with respect to yield and content of EPA and DHA in the concentrates; the lower the water content, the higher the efficiency. It was, however, influenced little by cooling procedure and temperature which the saponified solution experienced during the crystallization. Under an optimal condition, the contents of EPA and DHA in the concentrate increased by 2.4 and 2.5 times,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ose in sardine oil.

알칼리 수산화물이 용해되어 있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어유를 비누화시키고 이를 냉각 여과함으로써 ${\omega}-3$고도불포화지방산 특히, EPA와 DHA가 농축된 지방산 농축물을 얻을 수 있었다. 정어리유와 농축물의 지방산 비교 분석한 결과 지방산 분자의 이중결합 수 또는 탄소사슬 길이보다는 탄소사슬 길이에 대한 이중결합 수의 비율이 에탄올에 대한 지방산 나트륨염의 용해도를 결정짖는 보다 중요한 인자라는 점을 알수 있었다. 비누화 반응의 용매인 에탄올 내의 물함량은 분리효율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는데 물함량이 낮아질수록 농축물 내의 EPA 및 DHA 함량과 이들의 수율이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한편, 비누화된 용액을 결정화시킬 때의 냉각온도 및 냉각과정은 공정의 효율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무수 에탄올을 사용하고 비누화된 용액을 $10^{\circ}C$로 급속 냉각하였을때 EPA와 DHA함량이 원료 정어리유의 14.2%와 10.7%에서 각각 34.1%와 27.8%로 증가된 PUFA농축물을 84.5%의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