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High Fiber Grains on the Growth Rate and Fat Accumulation in Broiler Chickens

고 섬유질 곡류의 섭취가 육계의 성장능력 및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87.05.01

Abstract

Two hundred and forty female day-old broiler chick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rain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dietary fiber on the growth rate, carcass fat content and abdominal fat pad weight. Corn and sorghum were used as low-fiber grains, and rye and hulled barley as high-fiber grains. During the 6 weeks of feeding period, chicks were fed one of the four diets which were iso-caloric and iso-nitrogenous. Birds were Tandomly allotted to 20 battery cages. There were five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12 chicks per replicate (pen). Data were subjected to the one-way ANOVA test, and when significant at 5% level, then means were compared by the method of Duncan (1955). At 3 weeks of age, rye-fed chicks grew significantly slower than did the other birds. At 6 weeks of age, the growth rates of chicks fed rye and sorghum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birds fed barley ana corn. Carcasses from birds fed rye showed significantly lower tat content than those from birds fed corn and sorghum at 3 weeks of ag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rye and barley in this context. At 6 weeks of age. however, this difference in carcass fat content disappear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bdominal fat pad weight was found among four grains at both 3 and 6 weeks of ages.

고-섬유질 곡류의 육계의 성장률, 도체조성 및 복강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갓 부화한 암평아리 240수를 공시하였다. 시험사료는 저-섬유질 곡류로서 옥수수와 수수를, 고-섬유질 곡류로서 호밀과 겉보리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사료는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을 같게 하였다. 시험 설계는 4처리 5반복의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하였으며, 반복당 12수를 철제 battery cage에 수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5% 수준에서 실시하였고, 평균간의 비교는 신다준 검정법(Duncan, 1955)을 사용하였다. 육계의 성장률은 2주령 시에는 호밀 사료구가 6주령 시에는 수수와 호밀 사료구가 유의하게 불량하였으며, 사료 섭취량은 처리구별로 차이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3주령 시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6주령 시에는 보리와 옥수수 사료구가 수수와 호밀 사료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좋았다. 3주령된 육계의 내장 척출한 도체의 지방 함량은 호밀 사료구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보리 사료구도 수수 사료구 보다는 낮았으나 옥수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주령된 육계의 내장 척출한 도체와 방혈ㆍ탈모만을 한 도체의 조성은 처리구별로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복강지방 함량에 있어서도 곡류의 섬유질 함량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