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t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Several Rice Varieties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초형(草型)과 건물생산특성(乾物生産特性)의 변천(變遷)

  • Kim, Hong Kyu (Graduate School, Chungnam Nat'l Univ.) ;
  • Ahn, Su Bong (Dept. of Agronomy,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김홍규 (충남대학교 대학원) ;
  • 안수봉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Published : 1987.12.3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plant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several rice variet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ulm length was gradually shortened as varieties were improved and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Japonica X Indica hybrids. 2. Panicle length seems to be shortened as varieties changed from group I to group III. However, varieties in group IV had longer panicle length in spite of shortening tendency in other groups. 3. Leaf blade length was decreased as varieties improved, but leaf blade width was increased. 4. Panicle exertion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s varieties improved. 5. Number of panicles per square meter among Japonica varieties was gradually increased and similar to the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Number of spikelets on Indica X Japonica hybrids were higher than Japonica varieties, whereas 1,000 kernel weight was slightly decreased. 6. Dry weight of leaf sheath and culm, and leaf blade was highest at the time of heading and the weight of panicl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10 and 20 days after heading. 7. The maximum crop growth ratios of leaf blade, stem and panicles were attadined at the stage of heading, booting and milking, respectively. 8. The distribution ratio of dry matter was higher in leaf blade than in stem at the tillering stage. At the heading stage, the distribution ratio of dry matter was higher in order of culm, leaf blade and panicle. At the maturing stage, the ratio was higher in order of panicle, stem and laf blade. 9.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grain yield, harvest index, and biological yield were all significant and they were positive.

시대적(時代的) 변천(變遷)에 따른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초형(草型)과 건물생산(乾物生産) 특성(特性)을 살펴보기 위해 12개(個) 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4개(個) 품종군(品種群)으로 구분(區分)한 다음 시험조사(試驗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간장(稈長)은 최근(最近)의 품종군(品種群)으로 올수록 짧아졌는데 일인교잡종(日印交雜種)에서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였다. 2. 수장(穗長)은 I군(群)에서 III군(群)으로 변천(變遷)하는 과정(過程)에서 감소(減少)하였고 IV군(群)에서는 단간(短稈)임에도 불구하고 다시 증대(增大)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3. 상위삼엽(上位三葉)의 엽신장(葉身長) 및 엽중(葉重)은 시대적(時代的) 변천(變遷)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고 특(特)히 IV군(群)의 엽신장(葉身長)은 I군(群), II군(群), III군(群)에 비(比)해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엽각(葉角)에 있어서도 최근품종(最近品種)으로 변천(變遷)함에 따라 직립경향(直立傾向)이 뚜렷하였고 특(特)히 IV군(群)은 상위삼엽(上位三葉) 평균(平均)이 $10^{\circ}$내외(內外)로 직립(直立)하였다. 4. 이삭의 추출도(抽出度)는 품종(品種)의 변천(變遷)에 따라 현저(顯著)한 감소경향(減少傾向)을 보였다. 5. Japonica 품종군(品種群)에 있어서 $m^2$당(當) 수수(穗數)는 최근품종군(最近品種群)에서 점증경향(漸增傾向)이었고, 1 수영화수(穗穎花數)에 있어서도 비슷하였다. 일인교잡종(日印交雜種)은 Japonica 품종(品種)보다 영화수(穎花數)가 대체(大體)로 많았으며 천립중(千粒重)은 일인교잡종(日印交雜種)이 약간(若干) 가벼운 경향(傾向)을 보였다. 6. 엽초 및 간(稈)과 엽신(葉身)의 건물량(乾物量)은 출수기(出穗期)에 최대치(最大値)를 보였고 이삭의 건물중(乾物重)은 출수후(出穗後) 10~20일(日) 사이에 현저(顯著)한 증가(增加)를 나타냈다. 7. 기관별(器官別) 생장속도(生長速度)를 보면 분얼성기(分蘖成期)에는 엽신(葉身), 유수신장기(幼穗伸長期)에는 간(稈), 유숙기(乳熟期)에는 이삭이 최대치(最大値)의 생장속도(生長速度)를 나타냈다. 8. 건물분배율(乾物分配率)을 보면 분얼기(分蘖期)에는 간(稈)>엽신(葉身)의 순(順)이었고 출수기(出穗期)에는 간(稈)>엽신(葉身)>수(穗)의 순(順)이었으며 등숙기(登熟期)에는 수(穗)>간(稈)>엽신(葉身)의 순(順)이었다. 9. 공시품종(供試品種)들의 정조수량(精租收量)은 건물중(乾物重) 및 수확지수(收穫指數)와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