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파수에 따른 소리에 대한 사람의 반응

Personal Response for Sound according to its Frequency

  • 김영일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
  • 차일환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 발행 : 1987.12.01

초록

소리의 주파수에 따라 사람은 그 소리에 대한 느낌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소리의 주파수에 따른 사람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순음과 1/3옥타브와 1옥타브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시켜 나온 백색 잡음 및 자동차 경음기 소리를 사람에게 들려주고, 그 소리에 대한 느낌을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순음 160(Hz)에서 500(Hz) 까지의 소리에 대해서는 호의적인 반응을 나타내었고, 1,000(Hz) 이상의 순음과 백색 잡음 및 경음기 소리에 대해서는 거부감을 나타내었다. 경음기 소리는 350(Hz) 부근과 1.000 (Hz)에서 2.600(Hz) 사이에서 그 성분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경음기 소리에 대한 사람의 반응은 1,000(Hz)와 2,600(Hz) 사이의 순음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택가나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곳의 도로에서는 주로 200(Hz)에서 500(Hz) 사이의 경음기 소리를 발생시키면.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으면서 경음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nce People have serveral feelings for the sound according to its frequency the responses of sound frequencies for the people have been studies in this paper. The feelings of sound are investigated by questionaire thar are pure tones, waring sounds of automobile and sounds that white noise is passed by one and one-third octave bandpass filter. Experimental results have been shown that people have good response for the pure tone between 160(Hz) and 500(Hz), and have unpleasant response for the pure tone above 1000 (Hz), warning sounds of automobile, and for white noise. Warning sound of automobile horn has been mainly distributed between 1000(Hz) and 2600(Hz). Hence the resells are shown that the responses for warning sound of autombile horn are similar to that for pure tone between 100(Hz) and 2600(Hz). As a results, it is necessary to make warning sound of automobile horn have frequencies between 200(Hz) and 500(Hz) with low level in the residental districts and crowded stree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