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hibitory Effects of Ginger and Garlic Extracts on the DNA Damage

마늘 및 생강추출물의 DNA 손상억제작용

  • Kang, Jin-Ho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san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Ahn, Bang-We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san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Lee, Do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san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Byun, Han-Seo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san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Kim, Seon-B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san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Park, Yeu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san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강진훈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안방원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이동호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변한석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김선봉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박영호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8.06.01

Abstract

The inhibition mechanism of DNA damage by lipid peroxidation was studied through the reaction systems of plasmid pBR322 DNA, linoleic acid and the 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ginger and garlic. The DNA damage was greatly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ginger and garlic extracts,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f active oxygens were also great. It is considered that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se extracts on the DNA damage are mainly due to their scavenging effects of active oxygen radicals.

지질의 산화로 일어나는 DNA손상 작용에 대한 천연 항산화성분의 억제작용과 그 기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정에서 상용(常用)하는 생강과 마늘에서 추출한 항산화성분을 각각, linoleic acid와 pBR322 DNA의 반응계에 첨가하여 $37^{\circ}C$에서 반응시키면서 경시적인 DNA 손상억제능을 조사하였다. 또한, linoleic acid와 생각 및 마늘추출물의 반응계에서 경시적으로 생성하는 superoxideanion(${\cdot}\;O_2^+$)과 과산화수소$(H_2O_2)$를 측정하여 이들 추출물의 활성산소소거능(活性酸素消去能)도 아울러 비교(比較) 검토(檢討)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각 및 마늘추출물을 첨가한 반응계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DNA 손상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생각추출물의 DNA 손상억제능이 전(全)농도에 걸쳐 반응 4일까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나 $555{\mu}g$ 이상의 농도에서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는 마늘추출물에 비하여 상당히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추출물은 linoleic acid의 산화과정에서 생성된 superoxide anion과 과산화수소의 소거능이 컸으며 이러한 작용은 생각추출물이 마늘추출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양(兩)추출물의 DNA 손상억제능이 활성산소종(活性酸素種)의 소거능(消去能)의 차이에 기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기(上記) 추출물의 항산화력도 뛰어나 반응 4일까지 POV 가 20millieq./kg 이하(以下)로 나타났는데 이것으로 보아 활성산소소거능(活性酸素消去能) 뿐만 아니라 과산화물의 생성에 관여하는 각종 free radical의 소거능도 클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