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 설문 응답 양상에 관한 경험

A Response Pattern of Mailing Questionnaires

  • 강대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안윤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Kang, Dae-He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Ahn, Yoon-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8.11.01

초록

1. 회신율은 연구 주관기관이나 설문조사 내용, 표본의 성격, 응답자에게 주는 이익의 정도, 독촉 방법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겠지만 본 사례에서 우편설문에 관한 응답양상을 살펴본 바, 회신율에 있어서는 1차 발송후 총 대상에 대하여 약 15-20% , 미응답 대상에 대한 2차 발송 후 2차 대상의 약 30%, 1, 2차 미응답 대상에 대한 3차 발송후 3차 대상의 약 20%정도의 회신율을 보여 총 회신율에 있어서는 약 54%정도를 보이었다. 이것은 사회과학 연구 조사에서의 회신율 10-25%에 비하여는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고(김경동, 1986), 질문서 회신율이 50%면 분석의 목적 상 무난하다고 보아야 하고, 60%면 좋은 편이고, 70%가 넘으면 아주 훌륭하다는 Babbie(1973)의 의견에 비추어 볼 때 무응답 대상에 대한 비교연구가 수반되어야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겠지만 본 사례에서의 회신율은 그런대로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생각된다. 2. 미응답 대상에 대한 독촉 발송 시기에 있어서는 미응답 대상에 대하여 최초 발송 2주일 후 정도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3차 발송까지 시행하는 것이 회신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3차 발송 이후에도 응답이 없는 경우 또다시 독촉(4차 이상 발송)하여도 전체 회신율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Christopher는 정부의 후원을 받는 조사 연구의 경우 회신율이 높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번 조사연구에서도 관련 부처로부터의 협조 공문이 회신율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고 사료된다(Oppenheim, 1966).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