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Yield Load in Pile Load Tests on Driven Piles

관입말뚝에 대한 연직재하시험시 항복하중의 판정법

  • 홍원표 (정회원,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심기석 (정회원, 해운항만청 기획과, 정회원, 제철엔지니어링(주) 상무이사, 정회원,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항만부, 정회원,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조교)
  • Published : 1989.03.01

Abstract

In pile load tests on end bearing piles, generally, it is not possible to continue loading to the ultimate load. Thus, the concept of yield load has been introduced for determining design loads Iron the pile load test records. The conventional rules to determine the yield load were not available for evaluation on pile load test records obtained in 6 fields nearby westers 8r Southern Coasts in Korea. A new rule 9.as presented to determine easily the yield load, based on investigations on the pile load test records. The yield load of piles is determined at the infiection point on semi-logarithmic coordinates (P-logS), in which load is plotted in normal scale and settlement is plotted in logarithmic scale. This method may not only save much costs and times but also present safe luorking circumstances for pile load tests in field. It was found that the yield load represented the elastic limit of the pile load-settlement behalf.iota. The ultimate load, which is given at 25.4mm settlement on pile head, was 1.5 times of the yield load. The allowable long-term and short-term load capacities were, respectively, 50% and 75% of the yield load. The safety factors to get the allowable pile capacity were obtained as 2.0~4.0 for the equations to predict the static pile capacity.

암반에 지지된 선단지지맡뚝에 대한 연직재하시험시, 극한하중에 이르기까지 재하를 실시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말뚝재하시험결과로부터 설계하중을 결정하기 위하여 봉복 윤중의 개념이 도입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 강복초중을 결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 지대 6개 현장에서 실시된 말뚝재하시험결과를 검토분 석하여 항복하중을 쉽게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 강복하대은 말뚝의 침하량을 대수눈금으로, 하중을 정규눈금으로 한 반대수응지상에 정리된 하중과 침하량 체선(P- log영상의 변곡점으로 정의되었다. 이 방법에 의한 강복연동보다 약간 많은 하중까지 재하시험을실 기하므로써, 말뚝재하시험의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한 작업조건도 마련할 수 있다. 이 강복하중은 하중과 침하량 거동의 탄성한계를 규정짓는 하중이 됨을 알 수 있었다. 25.4 mm침하시의 하중으로 결정되는 식한하동은 이 강복륜중의 1.i배에 해당하였으며 장기 및 단기 허 용하중은 각각 이 항복하중의 50%와 75%에 해당하였다. 또한 정역학적 지지력공식을 사용하여 허 용지지력을 구할 경우 안전율은 2.0~4.0으로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