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itative import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olychaetes in the benthic community of the Yellow Sea

황해의 저서군집내에서 다모류의 중요성과 종조성

  • LEE Jae-Hac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CHIN Pyung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이재학 (한국과학기술원 해양연구소) ;
  • 진평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Published : 1989.08.01

Abstract

The ecological studies of the benthic polychaetes were carried out in the follow Sea for the period of August 1982 through February 1986. Special emphasis were placed on quantitative species composition and the importance of polychaetes in the benthic community. Polychaete group ranked numerically high, composing $35.1\~46.4\%$ of the total benthos. In the biomass, echinoderms or mollusks showed as a dominant group, but the range of its seasonal variation was very large. Due to the use of sampling gear, the relative importance of polychaetes was somewhat different. The case of a dredge showed a little lower composition rate of polychaetes than a grab one. This result was caused by high density of benthic animals because the dredge would tow only much more surface sediments than the grab sampler. The present studies included a total of 141 species and the representative polychaetes in this area were Spiophanes bormbyx, Ampharete arctica, Geniada maulata, Nephtys caeca, Nothria iridescens.

본 연구는 1982년 8월부터 1986년 2월 까지 5년에 걸쳐 계절별로 한반도에 인접한 황해의 저서다모류를 대상으로 정량 채집하여 다모류의 중요성과 종조성을 파악하였다. 다모류의 비중은 전 저서동물군 중에서 가장 높은 $35.1\~46.4\%$의 조성률을 나타내었고, 생체양에 있어서는 극피동물이나 연체동물군이 우점군으로 나타났으나 그들의 계절적 변화 폭이 일정하지 않고 매우 다양했다. 채집도구에 따른 다모류의 비중은 드레지(dre-dge)를 사용할 경우 채이기(grab)의 경우보다 약간 낮은 조성률을 나타내었다. 이는 드레지의 경우가 훨씬 더 퇴적물의 표층부분만을 예인하기 때문이었으며 다모류의 조성률도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기간 중 출현한 다모류는 모두 141종으로 나타났으며 이 해역에서의 대표종은Spiophanes bormbyx, Ampharete arctica, Geniada maulata, Nephtys caeca, Nothria iridescens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