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에서의 Chlamydia결막염의 빈도에 관한 관찰

Incidence of the chlamydia conjunctivitis in the newborn period

  • 신손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강미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Shin, Son-Mo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ang, Mi-Hwa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1989.12.30

초록

1989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안분비물을 주소로 본원 외래를 방문한 신생아 및 입원중인 신생아를 대상으로 Giemsa염색 및 Chlamydiazyme 검사, Gram염색 및 세균 배양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hlamydia성 결막염으로 진단된 환자는 전체 대상 환아의 34.6%였다. 2. Chlamydia성 결막염 발생시 일령 은 6일에서 15일사이가 가장 많았으며 남녀 성별차이는 없었다. 3. Chlamydia성 결막염으로 진단된 환아는 임상 증상 및 이학적 소견만으로 다른 세균성 결막염과 구분할 수 없었다. 4. 안분비물의 세균배양시 아무균도 자라지 않았던 경우가 61.5%였으며 균주가 자란 경우는 Pseudomonas aeruginosa가 19.2%로 가장 많았으며 Chlamydia성 결막염으로 진단된 경우도 1례에서도 S. aureus가 배양되었다. 5. Chlamydia성 결막염으로 진단된 환아 중 폐렴이 동반된 례는 없었다.

After application of silver nitrate on every newborn, the incidence of gonococcal conjunctivitis was markedly decreased. But recently neonatal conjunctivitis due to chlamydia infection is increasing, so clinical observation was made on 26 newborn infants who showed eye discharge from June 1st to August 31st 198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chlamydia infection among neonatal Conjunctivitis was 34.6%. 2. The most common age at diagnosis was 6-15days of life and there was no sexual prepondranc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clinical symptoms between chlamydia conjunctivitis and other Conjunctivitis. 4. Of 26 infants examined. 16 cases revealed no growth on routine bacterial culture. Of the organism cultured, P. aeruginosa was the most common agent(19.2%) and followed by S. aureus(11.5%) and S. epidermidis(7.6%). In one case of chlamydia I conjunctivitis, there was concurrent S. aureus infections. 5. On this study, Giemsa stain did not give significant diagnostic aid of chlamydia conjunctivit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