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dural Abscess Following Continuous Epidural Catheterization

지속성 경막의 차단후 발생한 경막외 농양의 치험

  • Kim, Sung-Sub (Dept. of Anesthesiolog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Hae-Kyu (Dept. of Anesthesiolog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Inn-Se (Dept. of Anesthesiolog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ung, Kyoo-Sub (Dept. of Anesthesiolog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성섭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 김해규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 김인세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 정규섭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5.30

Abstract

The cases of continuous epidural catheterization for pain control have increased nowadays. Epidural abscess, one of the complications of continuous epidural catheterization. can cause severe and permanent neurologic deficit. Though the incidence of epidural abscess is rare, we should devote every effort to prevention of abscess formation. And in the occurrence of epidural abscess formation, treatment should be started as early as possible with antibiotic therapy and surgical drainage to prevent permanent neurologic deficit. We experienced a case of epidural abscess following continuous epidural catheterization, and so the case is presented.

경막외 농양의 항생이 경막외 카테타 거치로 인한 것은 드물고 다른 감염증과 골수염의 혈행성 전파로 기인된 것이 대부분이며 원인군은 황색 포도상구균이 가장 많다. 농양 발생시 환자는 농양형성 부위의 통증과 압통, 고열, 하지마비 등의 증상을 나타내게되며 척수조영술이나 전산화 단층촬영 등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항생제의 투여와 추궁절제술을 시행하여 농양으로 인한 척수압박을 해소하는 동시에 배농시키는 등의 적극적 치료를 시행하여야 한다. 본 환자는 고령으로 인한 면역능력의 저하와 어울려 카테타 관리 및 약물 주입시의 감염으로 인하여 경막의 농양이 발생하였으나 전신적인 항생제 투여만으로 잘 치유된 경우이다. 이와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막외 천자시 뿐만 아니라 카테타 거치 후의 카테타 관리 및 카테타를 통한 약물 주입시에도 무균 조작을 철저히 해야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