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tents and Sentences of Korean Abstract

한국어(韓國語) 초록문(抄錄文)의 문장(文章)과 내용(內容)에 대한 연구(硏究)

  • 이태영 (전북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1990.06.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nglish and Korean abstracts using the part of speech, case, primitive action. primitive state, measures the length of abstracts and individual sentences and analyzes the structures of sentences. In turn, the possible frames of abstract sentences are suggested.

품사(品詞), 격(格), 기본동작(基本動作), 기본상태(基本狀態)를 이용(利用)하여 영어(英語)와 한국어(韓國語) 지시초록(指示抄錄)의 문장(文章)을 고찰(考察)하였다. 문(文)과 문장(文章)의 길이(문장(文章)의 결합정도)를 측정(測定)하고, 문장구조(文章構造)와 전개과정(展開過程)을 분석(分析)하였으며 당위적인 초록문형(抄錄文型)을 예시(例示)하였다. 그리고 기본동작(基本動作)과 상태(狀態)를 중심(中心)으로 격관계(格關係)를 밝힌 초록문(抄錄文)의 문장틀을 제시(提示)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