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water Flow Analysis Using a Transient Three-dimensional Model in an Upland Area

삼차원(三次元) 비정상(非定常) 지하수모형(地下水模型)에 의한 홍적대지의 지하수(地下水) 유동해석(流動解析)

  • Received : 1989.10.04
  • Published : 1990.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human impact and precipitation on groundwater flow conditions at a small area in Dejima Upland using a transient three-dimensional simulation. To show the utility of the transient three-dimensional model,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is problem for which analytical solution is available. It appears that over the time period studied, the results of the model agree well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Simulation is undertaken for a period of 30days starting from May 1st, when irrigation starts. Groundwater flow patterns determined by a numerical model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plotted potential lines and discussed. Results of simulation clearly indicate that the groundwater flow system should be analysed using a transient three-dimensional model, especially for the region which is effected by human impact.

3차원 비정상류모형을 사용하여 출도대지(出島台地)의 소유역에 있어서 인위적및 자연적 요인이 지하수유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3차원 비정상류모형의 검정을 위하여, 모형에 의한 수치해석해와 Theis의 해석해를 비교한 결과 서로 좋은 대응을 나타내었다. 모의발생은 용수로(用水路)를 통하여 관개가 시작되는 5월 1일부터 30일간 행하였다. 지하수 유동양상을 포텐샬도로 나타내었으며 그에 대한 고찰이 있었다. 본 해석으로 부터 인위적 영향을 받는 지역의 지하수유동계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3차원 비정상류모형이 유용하다고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