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ructural Development of the Old Korean Girder Bridges

현존(現存) 한국(韓國) 고대항교(古代桁橋)의 구조적(構造的) 발달(發達)에 관한 연구(硏究)

  • 황학주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근섭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1990.01.11
  • Published : 1990.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ystemize the developement of the domestic girder bridges, an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construction of our own bridges. Bridges are analyzed by grouping them in terms of construction time and structural component. The bridges, which were constructed during the first era of Goryeo-dynasty, have no distinction between main beams and stone deck. Form the latter era of Goryeo-dynasty, the structure of the bridges began to seperate into main beams and stone deck in order to enlarge the width and span length. The bridges, which were constructed during the Chosun-dynasty, were constructed using modulized material, and are considered to be built by structural design concept. Their construction materials became larger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method. The superstructure of the old Korean bridges became more complicated in contrast to simplification of the substructures.

본(本) 연구(硏究)는 현존(現存)하는 한국(韓國)의 고대항교(古代桁橋)를 구조학적(構造學的)인 접근(接近) 방법(方法)에 따라 분석(分析) 연구(硏究)하므로써 고대교양(古代橋梁)을 체계화(體系化)하고 장래 우리나라의 독창적(獨創的)인 교양발전(橋梁發展)에 기여하고자 한다. 교양(橋梁)의 구조학적(構造學的) 발달(發達)은 시대별(時代別)과 교양구성별(橋梁構成別)로 나누어 연구(硏究)하였다. 시대별(時代別) 발달(發達)을 보면, 고려중기(高麗中期) 이전(以前)에 건설(建設)된 교양(橋梁)은 구조학적(構造學的)으로 볼 때 상부구조(上部構造)가 주항(主桁)과 교면(橋面)의 구분(區分)이 없이 가설(架設)되었으나, 고려후기(高麗後期)에 건설(建設)된 교양(橋梁)부터는 교폭(橋幅)을 넓히고 경간(徑間)을 장대화(長大化)하기 위하여 주항(主桁)과 교면(橋面)을 분리(分離)하였다. 조선시대(朝鮮時代)에 건설(建設)된 교양(橋梁)은 시공자재(施工資財)가 규격화(規格化)되었음을 볼 때 구조학적(構造學的)인 설계개념(設計槪念)이 도입(導入)되었다고 판단(判斷)되며 아울러 운송기술(運送技術)의 발달(發達)로 자재(資材)의 크기도 점차 대형화(大形化)되었다. 고대항교(古代桁橋)의 상부구조(上部構造)는 점차 복잡(複雜)한 구조형태(構造形態)로, 하부구조(下部構造)는 단순(單純)한 구조형태(構造形態)로 발전(發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