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ing Mechanism of Pots and their Modification 3. Behavior of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to Net Pots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3. 그물통발유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

  • KIM Dae-An (Department of Fishing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College of Yeosu) ;
  • KO Kwan-Soh (Department of Fishing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김대안 (여수수산대학 어업학과) ;
  • 고관서 (부산수산대학 어업학과)
  • Published : 1990.07.01

Abstract

The behavior of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Brevoort), to the net pots with baits was investigated alternately in two experimental water tanks. One of the pots being dropped on the tank bottom, the eels increased rapidly in number of touching the pot to show a maximum whithin 30 minutes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The enterings of eels into the pots were also made mainly within 30 minutes and easier in pots with lower entrances. But the complete enterings were decided by the passage of eel tails through the pot entrances and so the eels retreated frequently after attemping to enter the pots, especially in pots small in the interval between the entrances and the baits or in pots with flappers. However, most of enterings encouraged the touches and earlier enterings ascribed earlier production of maximum touch. The eels, if entered the pots without flappers, got out of the pots relatively easily and the getting-out was easier in pots with lower entrances. On the other hand, the eels entered the pot with flappers could not get out of the pots. A comparison between the circular and square pots gave that the guidance of eels to the entrances was easier in the former and the passing of eels through the entrances in the latter, not only at the inside of pots but also at the outside. The general behavior of eels in touching or entering the net pots in the above results was almost equal to that on the bamboo and plastic pots in the previous paper.

본 실험에서는 민꽃게 대상의 그물통발들을 붕장어에 그대로 적용하여 수조실험을 행한 결과, 붕장어의 대통발 행동에 관한 다음의 몇 가지 특성을 얻었다. 1) 붕장어의 통발접촉수는 통발 투하후 급격히 증가하여 주로 30분 이내에 최대치를 보였다가 차차 감소하였고, 입롱도 통발 투하후 30분 이내에 주로 일어났으며, 입롱이 일어나면 접촉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고, 입롱이 빨리 일어날수록 최대접촉수도 빨리 나타났다. 또한 이들 결과는 전보의 대통발$\cdot$플라스틱통발에 대한 조사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2) 통발에 접촉한 붕장어는 미끼냄새가 나는 곳을 향하여 주로 통발의 하부를 파고 들었으며, 통발과 수조바닥사이를 파고들어 미끼를 구 할려는 것도 전체 접촉수의 $10\~35\%$나 되었다. 3) 붕장어의 입롱과 출롱은 입구가 하부에 난 통발일수록 쉬웠다. 4) 통발의 평면형상이 원형인 것은 통발내외에서 붕장어가 입구 또는 출구에 도달하는 기회는 많았으나 그것을 지나쳐버리는 일이 많았고, 사각형인 것은 입구 또는 출구에 도달하는 기회는 적었으나 그곳에 도달하면 쉽게 입롱 또는 출롱 하였다. 5) 붕장어의 완전한 입롱은 꼬리의 입구통과로 결정되었고, 입롱시도후 도피한 개체수는 입구로부터 미끼까지의 거리가 짧은 통발에서 많았다. 6) 입구끝이 통발내로 휘어져 들어간 것은 입롱한 붕장어의 출구발견을 어렵게 하였고, 통발천의 하부에 구석이 만들어진 경우는 통발내의 붕장어가 그곳을 계속적으로 쪼으면서 정체되는 행동을 보였다. 7) 입구끝에 혀그물이 부착되어 있으면 입롱시도후 도피한 개체수가 많아지고 입롱도 나빠지나, 일단 입롱한 것은 전혀 출롱치 못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