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산 소라의 치패생산 및 서식생태에 관한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Culture Bed and Production of Young Top Shell, Batillus cornutus in Cheju Island

  • Pyen Choong Kyu (Department of Aquacultur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Youn Jeong Su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0.05.01

초록

소라 Batillus cornutus (LIGHTFOOT)의 종묘생산 기술개선과 치패발생장에 있어서의 서식생태와 소라서식장내에서의 성게류와 해조류와의 상호관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1988년 4월부터 1989년 11월까지의 조사자료와 1981년부터 조사된 자료를 비교 검토하였다. 소라친패의 산란유발 자극방법으로서 야간지수후 60분간 간출자극후 자외선조사해수를 유수한 것의 산란율은 $10.00\%\~39.77\%$의 범위였다. 천연치패발생 및 성육장은 최간조시간 2시간노출지대의 암반위에 유용해조류가 번무한 곳에서 이루어지며 각고 30$\~$40mm 이후부터 점차 인근 양식어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보였다. 소라 양식어장내에서 주식이 되는 해조류 중 미역이 고사되는 6월부터 11월까지는 감태, 모자반 등의 기타해조류의 서식양이 제한요인으로 나타났다. 고수온기의 저비중에 대한 소라의 내성에 대하여는 수온 $29.5\~31.4^{\circ}C$에서 소라의 각고 30$\~$60mm의 것이 비중 1,010에서 20시간만에 폐사하였고 비중 1,015에서는 55시간만에 폐사하였다. 소라의 조도에 따른 섭이이동에 있어서는 19:00 시부터 이동이 시작되었고 23:00시부터는 전 개체가 섭이활동을 하게되고 05:00시부터는 먹이에서 이탈하기 시작하여 09:00시부터는 섭이활동이 중지되었다.

In order to improve top shell seed production techniques spawning and larvae rearing were done in rearing tanks. Growth of young top shell in the nursing ground were also investigated. For induced spawning, top shells were maintained in still water during night time. Then they were treated with ultra violet iradiated sea water after dried up in air for 60 minutes. Spawning rate were 10 to $39.77\%$. It was found that young top shells moved in the growing grounds from nursing grounds when they reached approximately 30-40mm in shell heignt. Among main food algae for top shell in the natural growing grounds, sea mustard were melted away during June. Therefore, presence of another food algae such as Ecklonia cava or Sargassum spp. seems to be the main limiting factor for survival of top shell during summer. The tolerance of top shells ranging from 30mm to 60mm to low density of seawater for were tested at the temperature between 29.5 and $31.4^{\circ}C$. Hundred percent mortality occoured in 20, 55 and 90 hours after first stocking at the specific gravity of 1.010, 1.015, and 1.020, respec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