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tomical Comparison between Compression Wood and Opposite Wood in a Branch of Ginkgo biloba L.

은행나무 지재(枝材)의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와 대응재(對應材)에 관(關)한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비교(比較)

  • Received : 1991.07.27
  • Published : 1991.09.30

Abstract

은행나무 지재(枝材)에 발달(發達)하여 있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와 대응재(對應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차이(差異)를 조직(組織) 및 그 구성요소(構成要素)의 크기 면에서 서로 검토(檢討) 비교(比較)하였다. 조직적(組織的)인 특성(特性)으로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연륜폭(年輪幅), 횡단면상(橫斷面上) 가도관(假導官) 형상(形狀) 및 방사조직(放射組織) 비례상태(比例狀態), 세포간극(細胞間隙), 가도관(假導官) 선단(先端)의 굴곡(屈曲), 나선열(螺旋裂) 및 접선단면상(接線斷面上)의 방사조직(放射組織) 형상(形狀) 면에서 대응재(對應材)와 차이(差異)를 나타냈으며 구성요소(構成要素)의 크기에 있어서는 가도관(假導官)의 벽후(壁厚) 및 접선직경(接線直徑), 단열(單列) 방사조직(放射組織)의 높이, 이열방사조직(二列放射組織)의 수(數) 및 방사조직(放射組織) 밀도(密度) 면에서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대응재(對應材)와 차이(差異)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