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ode 식 초음파기를 이용한 한국인의 피하지방 측정

Measurement of Subcutaneous Fat Thickness of the Korean by A-Mode Type Ultrasonic Instrument

  • 발행 : 1991.08.30

초록

초음파기(A-mode type, TATT, TH-500, Datoherutsu Co, Japan)를 이용하여 20-39세의 한국 사람들의 삼두박근, 견갑골하부, 장골위, 대퇴부의 피하지방을 측정하고, 이 피하지방 두께와 표준체중, 상대체중(relative body weight, RBW), body mass index(BMI), $R\ddot{o}hrer$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남성에서는 장골위의 피하지방 두께가 $9.04{\sim}9.51mm$로 가장 크고, 견갑골 아래가 $9.04{\sim}9.51mm$, 대퇴부가 $6.48{\sim}7.04mm$, 삼두박근이 3.48${\sim}$3.69mm이었다. 피하지방 두께와 여러 신체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삼두박근의 피하지방 두께와 BMI(r=0.618), $R\ddot{o}hrer$지수(r= 0.622)가, 장골위의 피하지방 두께와 체중(r=0.551). RBW(r=0.457), BMI(.= 0.478), $R\ddot{o}hrer$ 지수(r=0.418), 견갑골 하부의 피하지방 두께(r=0.433)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성에서는 대퇴부의 피하지방 두께가 $11.85{\sim}12.15mm$로 가장 크고 장골위가 $8.79{\sim}9.87mm$9.87mm, 견갑골하부 $6.21{\sim}6.91mm$, 삼두박근이 $4.80{\sim}4.93mm$이며, 대퇴부의 피하지방 두께가 RBW(r=0.339), BMI(r=0.347), $R\ddot{o}hrer$ 지수(r=0.330)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남성의 경우 삼두박근의 피하지방 두께가 RBW, BMI, $R\ddot{o}hrer$지수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장골위의 피하지방 두께는 RBW, BMI, $R\ddot{o}hrer$ 지수외에 체중과도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초음파를 이용한 피하지방측정은, 남성은 장골위가 가장 유용함을 알 수 있었고, 여성의 경우는 대퇴부의 피하지방 두께가 RBW, BMI, $R\ddot{o}hrer$ 지수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대퇴부의 피하지방 측정이 가장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비만 측정에서 초음파 장치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으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겠다.

This study attempted to measure subcutaneous fat thicknes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 in age and sex matched Korean subjects, and to observe correlation between fat thick-ness and physical indices. In male, fat thickness of suprailiac area showed the highest value of $9.40{\sim}9.51mm$ and then subscapular was $6.60{\sim}6.84mm$, femoral was $6.48{\sim}7.04mm$ and triceps regions was $3.48{\sim}3.69mm$. In female, femor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was the higher. $11.85{\sim}12.15mm$and then suprailiac was $8.79{\sim}9.87mm$ subscapular was $6.20{\sim}6.91mm$ and triceps fat thickness was $4.80{\sim}4.93mm$. In male, fat thickness of triceps and relative body weight(RBW). body mass index(BMI), triceps or $R\ddot{o}hrer$ index were positively correlated. Correlations between suprailiac and weight, relative body weight(RBW). body mass index(BMT), $R\ddot{o}hrer$ index or subscapular were positively significant. In femal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at thickness of femoral and RBW, BMI, or $R\ddot{o}hrer$ index. And there were no positive correlations in other parts of the bod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