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Stock Density and Biomass of Perinereis aibuhitensis at the Tidal Zone in Sosan, Korea

서산 연안간석지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Perinereis aibuhitensis의 분포밀도와 현존자원량의 추정

  • 김종관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 ;
  • 장창익 (한국해양연구소 응용생태연구실)
  • Published : 1991.07.01

Abstract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stock density and biomass of Perinereis aibuhitensis in the tidal zone in Sosan, Chungchongnam-do, Korea was carried out from June to July 1988.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pecies and the optimum sample size for setting up the sampling design. The stock densities of the species by stratum and by subarea were estimated using the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based upon the results of preliminary survey. The differences in density between strata as well as among subareas were tested to decide whether they can be combined together for estimating the overall stock biomass or not.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p. aibuhitensis were randomly distributed(Poisson distribution) and the number of quadrats which satisfies a reasonable level of precision was determined to be five by stratum. The densities between strat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ile densities among subareas were different. Subarea C showed the highest density with the mean of $53.9g/m^2$ and followed by subarea B. The density of subarea A was the lowest with the mean of $18.2g/m^2$. The overall mean density from the study area was $32.4g/m^2$ with the coefficient of variance(CV) of $6.8\%$ The overall stock biomass was estimated to be 147.5mt in this area.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서산군 지곡면 중왕리 치안간석지에서 두토막눈썹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nsis)의 분포밀도와 현존자원량을 추정하였다 조사방법은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서 하였으며, 예비조사에서는 본종의 분포양상과 적정표본의 크기를 결정하였다. 본종의 분포형태는 임의분포였으며, 층별 적정 조사정점의 수는 5개였다. 본조사에서는 예비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층별 및 소해역별 분포밀도를 추정하고 층간 또는 소해역간 분포밀도 차이의 유무를 비교분석하여 총 현존자원량을 추정하였다. 소해역내에서 층간에는 밀도차이가 없었고, 소해역간에는 유의한 밀도차이가 있었다 소해역별 분포밀도는 소해역 C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B, A의 순이었다. 이 중 분포밀도가 가장 높은 소해역 C의 평균밀도는 $53.9g/m^2$였고, 분포밀도가 가장 낮은 소해성 A의 평균밀도는 $18.2g/m_2$였다. 조사해역 전체의 평균 현존밀도는 $32.4g/m^2$였고, 이의 변동계 수(coefficient of variance)는 $6.8\%$였다. 총 현존자원량은 147.5mt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