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영양화된 북만의 용존산소 수지에 의한 자정능력

Self-purification Capacity of Eutrophic Buk Bay by DO mass Balance

  • 최우정 (국립수산진흥원 통영수산연구소) ;
  • 나기환 (국립수산진흥원 통영수산연구소) ;
  • 전영열 (국립수산진흥원 통영수산연구소) ;
  • 박청길 (부산수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CHOI Woo-Jeung (Tong Young Fisheries Research Laboratory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NA Gui-Hwan (Tong Young Fisheries Research Laboratory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CHUN Young-Yell (Tong Young Fisheries Research Laboratory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PARK Chung-Ki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91.01.01

초록

충무시 북서쪽에 위치한 폐쇄성 내만으로 만 외측에는 굴 양식을 하고 있는 북만의 부영양화현상을 구명하고 수질이 최악에 달하는 하계에 일정수준 이상의 용존산소를 유지하기 위한 적정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해 1988년 1월부터 동년 12월까지 평균 월 4회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 조사 지점에서 총무기질소는 $0.10{\~}127.41$(평균: 10.71)$\{mu}g-at/l$, 인산 인은 ND-4.29(평균: 0.40) ${\mu}g-at/l$, Chlorophyll-a는 $0.35{\~}132.75$(평균; 11.90) $mg/m^3$이었고, 여름철 동안 평균농도는 각각 $11.06{\mu}g-at/l,\;0.80\mu g/l,\;11.11mg/m^3$로 이미 부영양상태에 있었다. 용존산소는 전 조사지점에서 $0.00{\~}13.42$(평균:6.45)ml/l 였고, 장마가 끝나고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시점인 7월에 전 지점의 저층에서 평균 2.08ml/l의 저산소수괴가 형성되었으며, 8월이후 증감을 되풀이하면서 점차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하계에 북만의 시간에 따른 용존산소 변화곡선은 $DO(ml/l)=15.57-1.40{\times}(day)+0.03{\times}(day)^2+0.0001{\times}(day)^3+......$와 같이 나타낼 수 있었고, 이와 같은 산소변화 특성으로부터 구한 산소소비계수 및 공급계수의 고유치는 각각 0.222/day, 0.018ml/l/day로 북만의 용존산소 수지 특성으로 볼 때 하계에 무산소 또는 저산소 상태를 막고 4ml/l이상의 용존산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일대의 해역에 수로의 변경이나 산소 공급장치를 이용 0.856ml/l/day 만큼의 산소를 공급하든지 또는 이 량에 해당되는 유입 BOD 부하를 폐수처리장 건설 등을 통하여 감소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Summer, oxygen-deficient water masses were developed extensively in the closed eutrophic bays such as Chinhae Bay which results in mass mortality of marine organisms and severe decrease the production of the bay every year.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xygen depletion relating to eutrophication, and also to evaluate self-purfication capacity of Buk Bay by dissolved oxygen mass balance in 1988. The mean concentration of total inorganic nitrogen, phosphate phosphorus and chlorophyll-a were $11.06{\mu}g-at/l,\;0.80{\mu}g-at/l\;and\;1.11mg/m^3$ respectively, which were over eutrophication criteria. Oxygen-deficient water mass was formed in July with the minimum concentration of 2.08ml/l(mean) at the bottom of all stations and recovered slowly in August. The decay and reaeration coefficient calculated from dissloved oxygen sag curve were 0.222/day and 0.018ml/l/day, respectively. To maintain above 4ml/l of oxygen to prevent oxygen-deficient water mass, it is recommendable to supply as much as 0.856ml/l/day of dissolved oxygen or should be reduced the same mass loading of BOD from watershed by the construction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