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영양조사(1960-1990년)에서 적용된 영양평가 방법의 내용 및 추이분석

Evaluation of Methods Used in Nutrition Surveys in Korea(1960-1990)

  • 최영선 (대구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
  • 발행 : 1992.04.01

초록

1960년에서 1990년까지 발표된 영양조사 관련논문 336편을 9(영유아, 학동기아동, 청소년, 대학생, 임신수유부, 주부, 노인, 근로자, 환자)개 대상 집단별로 나누어 각 대상집단의 영양조사에 적용된 조사방법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영양조사의 대상별 분포를 보면 영유아, 학동기아동, 대학생, 청소년, 주부, 노인, 근로자, 수유부, 환자의 순이었다. 조사건수의 85%가 식이조사를 포함였으며, 식이섭취조사법의 이용이 증가되었다. 설문지의 조사표를 이용하여 식습관, 영양지식등 식생활 상황을 파악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그 내용도 대상집단에 따라 다양하였다. 논문의 53%가 신체계측조사를 적용하였으며 영유아, 학동기 아동의 경우는 신장과 체중을 계측하여 발육표준치와 비교하여 성장발육을 측정하였고, 성인의 경우는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body mass index를 구하거나 피부투겹두께를 측정하여 체조성을 관찰하였으며, 최근에는 영양부족으로 인한성장 지연이나 열세한 체위보다는 영양과잉섭취로 인한 비만 쪽으로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정확한 체지방측정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논문이 다수 있었다. 생화학적 조사를 수행한 연구논문은 32%로서 숫자에 있어서는 거의 빈혈에 관한 생화학적 조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단백질 영양상태 판정을 위한 조사가 다수 있었으며, 무기질에 있어서는 Na과K이 주를 이루었고 비타민에 관한 생화학적 조사는 매우 부진하였다. 임상조사는 26%로서 그 적용빈도가 가장 낮았으며 특히 영양결핍성 신체징후를 관찰한 경우는 5%정도에 그쳤다. 반면에 대상자의 자각증상에 관한 설문 또는 조사표를 이용한 건강상태자각정도와 피로도 등을 측정하는 사례가 많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ssess and evaluate methods employed in nutrition surveys and to give an information on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for future studies in Korea. Three hundred thirty six papers of nutritional surveys published from 1960 to 1990 were classified into 9 groups according to the survey subject and analyzed for methods used in survey. The frequency of publications according to the survey subject was as the following order :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school age children' 'adolescence' 'college students'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housewives' 'the elderly' 'workers' and 'patients' Eighty five percents of papers applied methods of dietary assessment. of which weighing method recall method an record method were extensively used in the order. Questionnairs included items related to nutrition such as food habit nutrition knowledge etc. Anthropometric techniques were employed in 53% of papers and in general growth measurement were undertaken for children and body composition was emphasized for adults. biochemical assessment was limited to 32% of papers and assessment of anemia was the major test. Clinical studies were applied to 26% of the studies. of which only 5% employed examination of clinical signs of malnutrition Recently self-reported health status assessed using questionnaires has been adopted frequently.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for evaluation of the methods employed in nutrition surveys in order to develop the standard model for nutrtion survey so that obtained data can become more reliable and utilized efficient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