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Dietary Fiber on the In Vitro Digestibility of Fish Protein

식이 섬유소가 어류단백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 Ryu, Hong-Soo (Dep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Park, Nam-Eun (Dep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Kang-Ho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Published : 1992.06.01

Abstract

In vitro digestibility of filefish, protein was substantially decreased by fiber constituents in the follow-ing order : pectin (9.97%), gum karaya (7.03%), sodium alginate (6.12%),and cellulose (1.52%). The order of reduction by fibrous residues from vegetables ranked as follows : sea tangle (12.36%), Ro-maine lettuce (11.12%), perillar leaf (8.96%), and green pepper (5.15%).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dietary fibers towards filefish protein digestion, expressed as soybean trypsin inhibitor equivalents, in-creased with added levels, but the inhibition differed with the sources of dietary fibers. Sea tangle and sodium alginate were most active in de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essential amino acid from filefish protein hydrolysis. Sodium alginate exerte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activity of trypsin, but the other fiber constituents did not have an inhibitory potency on trypsin and bacterial pretense (Streptomyces griceus). Results supported that dietary fiber components may reduce protein digestibility through the interaction of dietary fiber components with filefish protein.

단백소화율에 미치는 식이 섬유소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채소류(상치, 깻잎, 고추. 다시마)로부터 추출한 식이 섬유소와 시판용 정제 식이 섬유소 (cellulose, pectin, sodium alginate, gum karaya)를 어류 단백질인 말쥐치 단백질(냉동건조육 및 myofibrils)에 첨가 반응시켜, 단백질 의 소화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시료의 중성세제 추출섬유소 (neutral detergent fiber) 함량은 24.21%(고추) 9.75%(다시마)의 범위였고, 산성세제 추출섬유소 (acid detergent fiber) 함량은 20.85%(고추) 11.97%(깻잎)의 범위였으며, 수용성 섬유소 함량은 13.79%(다시마) 4.41%(상치)의 범위였다. 말쥐치 단백질에 대한 식이 섬유소의 반응 비율을 1 : 1 (wt/wt)로 하고, 37$^{\circ}C$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을 때. 말쥐치 단백소화율은 정제 식이 섬유소 첨가의 경우, 1.52%(cellulose) 9.97%(pectin)가 감소되었고. 추출한 식이 섬유소 첨가의 경우, 5.15%(고추) 12.36%(다시마)가 감소되었다. 섬유소의 trypsin 활성저해능은 단백소화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여, ANRC casein에 대한 soybean trypsin inhibitor 22mg/g (cellulose) 61.82mg/g(gum karaya), 49.75mg/g(고추) 171.52mg/g(상치)에 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제 식이 섬유소에 의한 단백분해효소의 활성 변화는 sodium alginate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어, 어류 단백소화율의 저하는 식이 섬유소가 단백질에 직접 결합하여 비소화성 물질을 형성한 결과가 주도하리라 생각되었다. 말쥐치 단백질과 섬유소를 반응시킨 것을 효소 가수분해시킨 후에 측정한 유리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sodium alginate와 다시마 섬유소의 경우 현저하게 저하하였으며(75% 이상), isoleucine과 valine이 크게 영향을 받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