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Unification of the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at Seoul

서울지방의 통합형 확률강우강도식

  • 이원환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박상덕 (강릉대학교 이공대학 대기과학과)
  • Received : 1992.08.03
  • Published : 1992.12.31

Abstract

The probable rainfall depth is an important hydrologic design data in establishing the hydraulic engineering project at urban watershed. This study is to unificate the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at Seoul. The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at Seoul is basically formed by the types of Talbot, Sherman and Japanese. But these formulae may be unified to uniform type. The unified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is more applicable than that of the existing types at Seoul. Especially on the probable rainfall depth of total duration the application of unified formula general type is better than existing types. In this formula, values of n are decreasing with return period and increasing with rainfall duration, and values of coefficient, b, are decreasing with the increase of return period. The range of n varies from 0.55 to 0.60 for short duration, from 0.60 to 0.82 for long duration, and from 0.60 to 0.66 for total duration of probable rainfall depth.

도시유역의 수공계획 수립에 있어서 확률강우량은 중요한 설계수문량이다. 본 연구는 서울지방 통합형 확률강우강도식을 유도제시한 것으로서, 서울의 확률강우강도식은 Talbot, Sherman 및 Japanese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이는 통합형 확률강우강도식으로 단일화 될 수 있으며 기 발표형보다 서울지방의 확률강우량에 더 적합하다. 특히 전지속기간 자료인 경우에는 기 발표형보다 그 적용성이 두드러진다. 서울지방의 통합형 확률강우강도식의 계수 n 값은 재현기간의 증대에 따라 작아지고 강우지속기간의 증대에 따라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계수 b 값은 자료집단의 구분에 관계없이 재현기간의 증대에 따라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시간 자료인 경우 n 값은 0.55~0.60, 장시간인 경우 0.60~0.82이고 전시간 자료에 대하여는 0.60~0.66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