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examin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and Formulas of Equilibrium Riverbed Slope to River Engineering Practice

평형하상(平衡河床) 개념(槪念)과 공식(公式)의 하천실무(河川實務)에의 적용성(適用性)의 재고찰(再考察)

  • 우효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유권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Received : 1992.01.30
  • Published : 1992.06.30

Abstract

A careful re-examination has been conducted on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of equilibrium riverbed slope to river engineering practice and on the validity of Aki's and Mononobe's formulas that are widely used in Korea for determination of equilibrium riverbed slope. A stream in equilibrium is one in which, over a period of years, slope is naturally adjusted to provide, with available water discharge and with prevailing channel characteristics, just the velocity required for transportation of the sediment load supplied from the upstream. The equilibrium riverbed slope is the bed slope of such river. The present river engineering practice to analyze the riverbed characteristics by applying so called 'the equilibrium riverbed slope formula' to such rivers, therefore, should be avoided. Also, the validities of Aki's and Mononobe's formulas, that are presently used for determination of stable channel slope, are very dubious and should not be used in river engineering practice.

평형하상(平衡河床) 개념의 하천 실무에의 적용성 및 우리나라에서 평형하상경사를 추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어온 '안예(安藝)공식' 및 '물부(物部)공식'의 타당성에 대해 재고찰한다. 평형하천이란 장기간에 걸쳐 하천의 지배적인 수리(水理) 특성하에서 상류에서 공급되는 유사의 이송에 꼭 필요한 만큼의 유속이 생기도록 자연적으로 하상경사가 조정되어 실질적인 하상의 퇴적이나 침식이 없는 하천을 말하며, 평형하상이란 바로 그러한 하천의 하상상태를 지칭한다. 자연 상태에 있는 하천에 소위 '평형하상공식(平衡河床公式)'을 적용하여 그 하천의 하상상태를 분석하는 현재의 하천 실무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하천에서 안정하상 경사를 결정하기 위한 '안예(安藝)공식' 이나 '물부(物部)공식' 같은 소위 '평형하상공식'들은 그 타당성이 의심스러우며, 따라서 이러한 공식들의 하천 실무에의 적용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건설기술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