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ress-Strain Prediction of Silty Clay

점성토(粘性土)의 응력(應力) - 변형(變形)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 Cho, Seong Seup (Dept. Agricultural Engineering,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 Kang, Yea Mook (Dept. Agricultural Engineering,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 Chung, Seong Gyu (Graduate School, Chungnam Nat'l Univ.) ;
  • Yun, Hyun Chu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l Univ.)
  • 조성섭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 강예묵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 정성규 (충남대학교 대학원) ;
  • 윤현정 (충남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1992.06.30

Abstract

The paper describes the comparison between observed and predicted stress-strain characteristics of marine silty clay in Dangjin district. For prediction, the hyperbolic model which is applied the parameters acquiring by physical and triaxial compression test was adopted,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Young's modulus were increased with decreasing of moisture contents and increasing of dry density. 2. The most affective factor to hyperbolic model is lateral stress and dry density. and than cohesion and internal friction angle. 3. The comparision between the statistical and hyperbolic values of maximum deviator stress have few accordance. and the statisticals is lower than the hyperbolics. 4. Without. much labor and tiresome procedures, effective computer program was made and applied, but technical procedure for prevents test errors of parameter calculation is importants.

본(本) 연구(硏究)는 당진지방(唐津地方)의 해성(海成)실트질 점성토(粘性土)를 채취하여 물리적(物理的) 실험(實驗) 및 삼축압축시험(三軸壓縮試驗)을 실시하고, 그 시험결과로 쌍곡선식(雙曲線式) 매개상수(媒介常數)를 구한 후, 쌍곡선식(雙曲線式) 모형(模型)에 의한 응력일변형관계(應力一變形關係)를 검토하여 점성토(粘性土)의 응력일변형(應力一變形)을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건조밀도(乾燥密度) 및 함수비(含水比)의 증가(增加)에 따른 탄성계수(彈性係數)는 건조밀도(乾燥密度)에 비례하고, 함수비(含水比)는 반비례하였다. 2. 쌍곡선식(雙曲線式) 모형(模型)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적압력(積壓力)과 건조밀도(乾燥密度)이었고, 점착력과 내부마찰각(內部摩擦角)은 이보다 적은 영향(影響)을 타나났다. 3. 통계적(統計的) 방법(方法)의 추정치를 쌍곡선식(雙曲線式)에 의한 추정치와 비교하였으나, 통계적(統計的) 추정치가 쌍곡선식(雙曲線式) 모형(模型)에 의한 추정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4. 많은 그림과 계산과정(計算過程)을 단순화하여 시간적 노력을 줄이는 실용적(實用的) 전산(電算)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나, 입력되는 기초정수(基礎定數)의 시험오차(試驗誤差)를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