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Anti-aging Action of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 -2. Dose Effect of Alginic Acid as Modulator of Anti-aging Action in Liver Membranes-

해조류 성분의 노화억제작용에 관한 연구 -2. 간장 세포막속의 노화억제작용의 조절성분으로서 알긴산의 투여효과-

  • CHOI Jin-Ho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Il-Sung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Jae-Il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YOON Tae-Hyun (Korea Nutrition Institute, Hallym University)
  • 최진호 (부산수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일성 (부산수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재일 (부산수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윤태헌 (한림대학교 임상영양연구소)
  • Published : 1992.05.01

Abstract

To study the effect of alginic acid on modulation of the aging process, Sprague-Dawley(SD) male rats were fed the diets containing 0, 3, 6 and $9\%$ alginic acid isolated from brown algae(Undaria pinnatifida) for 16 weeks. The effects of alginic acid on body weight, malondialdehyde(MDA) content, peroxidizability index, cholesterol and phospholipid levels, cholesterol/phospholipid(Ch/Ph) molar ratio,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liver membranes were investigated. Increasing alginic acid level in diets did not alter food intakes but effectively decreased body weights gain(p<0.01-0.005). Malondialdehyde(MDA) contents of diets containing 6 and $9\%$ alginic acid were effectively decreased in ranges of $54.1-43.0\%$ in mitochondria, and $65.5-87.7\%$ in microsome compared with $100\%$ of control group. Cholesterol levels of all diets containing alginic aci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ranges of $87.0-72.3\%$ in mitochondria, and $87.4-68.1\%$ in microsome compared with $100\%$ of control group. Phopholipid levels in microsom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diets containing 3 and $ 6\%$ alginic acid but Ch/Ph molar ratios in both membranes were decreased by diets containing 3 and $6\%$ alginic acid. Increasing alginic acid level in diets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fatty acid but effectively increased linoleic acid in microsome except for diet containing $9\%$ alginic acid. These data on liver membranes suggest that alginic acid added to diets can modulate the physiological changes if the aging process.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의 주성분으로 알려진 알긴산(sodium alginate)을 0, 3, 6 및 $9\%$가 되도록 조제한 사료를 사용하여 Sprague-Dawley(SD) 웅성 흰쥐$(150\pm10g)$에 16주간 사육한 다음, 용량별 알긴산의 투여가 체중 변화와 간장의 세포막 성분으로서 미토콘드리아 및 마이크로솜 획분중의 과산화지질의 함량(malondialdehyde; n mole/mg protein) 및 과산화지표로서 peroxidizability index, 콜레스테롤과 인지질의 함량변화, 이에 따른 인지질 함량에 대한 콜레스테롤 함량의 비(Ch/Ph molar ratio), 그리고 간장의 세포막의 구성지방산 조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몇 가지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 알긴산의 용량별$(0,\;3,\;6,\;9\%)$ 투여에 의한 체중 증가를 대조군의 136.5g을 $100\%$로 하여 비교하여 보면 3, 6 및 $9\%$의 알긴산 첨가군은 각각 $89.6\%,\;70.2\%,\;50.6\%$로 체중 증가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고 있었다. 혈액과는 달리 미토콘드리아 및 마이크로 솜의 두 획분이 다같이 $6-9\%$의 알긴산 첨가군이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아주 효과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으며, 과산화지표로서 peroxidizability index도 과산화지질의 함량과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알긴산 무첨가의 대조군$(100\%)$ 대비 알긴산 첨가군$(3,\;6,\;9\%)$의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비교하여 보면 미토콘드리아 획분에서는 각각$87.0\%\;, 77.5\%,\;72.3%$로, 그리고 마이크로솜 획분에서는 각각 $87.4\%\;, 68.0\%,\;68.1%$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인지질의 함량은 마이크로솜 획분에서만 $3-6\%$의 알긴산 첨가군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인지질에 대한 콜레스테롤의 비(Ch/Ph molar ratio)는 두 획분에서 다같이 $3-6\%$의 알긴산 첨가군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지방산의 함량은 알긴산의 첨가량에 따라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리놀산의 함량은 $3-6\%$의 알긴산 첨가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p<0.005), 리놀산에 대한 아리키돈산의 비(Ara/Lino ratio)는 $3-6\%$의 알긴산 첨가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데이타의 결과에서 본다면 알긴산의 투여가 노화과정에 있어서 생리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암시하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