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lomiphene citrate on ovarian function and embryo developmental capacity in the rat

랫드에 있어서 클로미펜 시트레이트가 난소기능 및 수정란 발육성에 미치는 영향

  • Yun, Young-won (Department of Veterinary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wun, Jong-kuk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윤영원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수의학과) ;
  • 권종국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Received : 1991.10.16
  • Published : 1992.01.30

Abstract

The effects of CC the ovulatory response, oocyte normality, ovarian steroidogenesis and subsequent embryo developmental potential were examined in PMSG-treated rats. On Days of 25~27 of age, immature fe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treated with three different doses(0.05, 0.1 or 1.0mg /day) of clomiphene citrate or vehicle. The females subsequently received 4IU PMSG on Day 28 and/or 10IU hCG on Day 30, and were killed on Day 31. Some females given 0.1mg CC or vehicle with 4IU PMSG were then mated and killed on Days 2, 3, 4 and 5 of pregnancy. Compared to vehicle(control) group, by increasing the doses of CC, there were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ovulatory response as judged by both the proportion of rats ovulating and the mean number of oocytes per rat and a marked reduction of ovarian weight. The increasing doses of CC substantially promoted the degeneration(%) of oocytes ovulating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CC-mediated inhibitions of the ovulatory response and ovarian weight were oompletely overcome by a subsequent treatment of hCG. Increasing doses of CC resulted in a siginificant elevation of serum estradiol with the decreased levels of progesterone and androgens. The additive treatment with hCG was effective to reduce the elevation of estradiol and to increase the reduction of progesterone produced by high dose(1.0mg) of CC. The preimplantation embryos recovered from 0.1mg CC-treated pregnant rats demonstrated a progressive early loss from Day 3 of pregnancy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degeneration during all periods examined, compared to controls. The rate of progressive embryo cleavage in the CC-treated rats were slower than that in controls from Day 3 of pregnancy. Additionally, the percentage of the cleaved embryos recovered from the CC-treated rats remained significantly lower consistently from Day 2 of pregnancy, compared to control regimen. These results demonstrate a possible mechanism of CC-mediated inhibition of ovulatory response in the rats which may include the attenuation or blockade of the endogenous secretion of gonadotropins and also suggest that its detrimental effects observed on oocyte normality and embryonic development may be caused by abnormal follicular steroidogenesis( especially elevated estradiol) preceding fertilization.

클로미펜 시트레이트가 배란반응, 난자의 형태, 난소 스테로이드 생성 및 수정란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PMSG 처리한 랫드에서 조사하였다. 먼저 세가지 용량(0.05mg, 0.1mg 및 1.0mg)의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또는 부형제를 미성숙의 Sprague Dawley 암컷에 일령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투여하였다. 그후 28일령에 이들 모든 암쥐에게 4IU PMSG를, 30일령에는 1.0mg 클로미펜 시트레이트가 처치된 일부의 암쥐에게 10IU hCG를 추가로 투여하였고, 31일령에 모두 도살하였다. 한편 4IU PMSG와 더불어 0.1mg클로미펜 시트레이트 또는 부형제를 투여한 일부의 암쥐는 숫쥐와 교미시킨 다음 임신 2일부터 5일까지 매일 도살하였다. 클로미펜 시트레이트의 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배란반응(배란율 및 평균 배란난자의 수)과 난소중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반면 배란난자의 변성율(%)은 그 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클로미펜 시트레이트에 의한 배란반응 및 난소중량의 억제적 반응은 10IU hCG 추가투여에 의하여 완전히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그리고 클로미펜 시트레이트의 투여용량의 증가는 프로제스테론과 안드로젠의 혈장치 감소와 더불어 에스트라디올의 혈장치를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hCG의 추가투여는 이러한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작용에 의해 증가된 에스트라디올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감소된 프로제스테론치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0.1mg의 클로미펜 시트레이트를 투여한 임신 랫드로부터 회수한 수정란은 전기간에 걸쳐 그 변성율(%)의 현저한 증가와 아울러 특히 임신 3일부터 그 수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투여에 의한 수정란의 난분할 속도도 임신 3일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지연되었으며 아울러 회수된 수정란의 난분할율(%)도 전기간에 걸처 대조군보다 지속적으로 저하되었다. 위의 결과는 흰쥐에 있어서의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투여에 의한 배란억제반응과 아울러 그 작용기전에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억제 또는 차단작용이 포함됨을 증명하였고 이 약제의 투여에 의한 난자의 형태적 정상성과 수정란발육에 대한 유해효과는 수정이전 시기에 있어서의 난소스테로이드 생성 특히 에스트라디올의 증가에 기인함을 제시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Korea Research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