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성언어장애아(發達性言語障碍兒)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單一光子防出電算化斷層撮影) 소견(所見)에 관한 연구

THE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IN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 박진생 (서울의대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청소년정신과)) ;
  • 조수철 (서울의대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청소년정신과)) ;
  • 이명철 (서울의대 내과학교실(핵의학과))
  • Park, Jin-Seng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Cho, Soo-Churl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Lee, Myu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Nuclear Medicine))
  • 발행 : 1992.12.31

초록

발달성언어장애는 학령기 아동에서 약 $3{\sim}10%의$ 높은 빈도로 발견이 되며 그대로 방치할 경우 열등감, 좌절감, 우울증 등의 정서적인 문제를 일으키며 이차적인 학습장애를 동반한다. 이러한 발달성언어장애의 원인으로서는 사회환경적인 영향, 언어발달시기에 생긴 전도성청음장애로 인한 청각자극의 결핍, 유전적인 영향, 국소적인 뇌의 손상 등 때문으로 주장되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전산화단층촬영이나 뇌파검사 등에는 나타나지 않는 국소적인 기질적인 병변이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뇌의 기능적인 이상을 알 수 있는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결과, 61.9%(26/42)에서 혈류의 감소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소견이 발견된 뇌의 부위가운데에서 대뇌피질이 47.6%(20/42)로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시상부위가 33.3%(14/42)로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발달성언어장애가 뇌혈류의 이상소견과 관련된 뇌기능장애와 관련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동일한 대상 환아군들을 추적 조사하여 증상이 호전된 후에 다시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을 실시하여 본 연구결과와 비교연구를 시행한다면 보다 정확한 원인 규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athophysiology of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is a highly controversial matt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eural mechanisms involved in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the authors studied three dimensional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using Tc-99mH-MPAO in 42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61.9% (26/42) of this series revealed decreased perfusion in SPECT. 2) Regions of hypoperfusion were seen in cerebral cortex(47.6%, 20/42), thalamus(33.3%, 14/42), basal ganglia(11.9%, 5/42) and cerebellum(7.1%, 3/42). This study suggests that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could be due to specific functional impairment of the local brain regions which could not detected by conventional investigations such as brain CT or EE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