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Components of Hololeion maximowiczii Root and Change by Drying Methods

께묵뿌리의 화학성분과 건조방법에 따른 변화

  • 최동연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영희 (양산전문대학) ;
  • 박훈 (한국인삼연초연구소) ;
  • 양차범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3.10.01

Abstract

Hololeion maximowiczii root was analyzed for proximate composition, free sugar, fatty acids of crude lipid, amino acids and minerals after freeze dried (FD), hot air dried (HAD) and hot air dried after blanched (HADB), respectively. Proximate composition was little different among drying methods. Free sugar was abundant in order of sucrose $(28{\sim}29mg/g\;dw)$, fructose $(0.8{\sim}3mg/g\;dw)$, glucose and xylose (trace). Fructose was decreased in HADB.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crude lipids, linoleic acid was highest $(55{\sim}59%)$ and then palmitic and linolenic acid in abundance. These three fatty acids made $88{\sim}90%$ of total lipid, Low molecular fatty acids showed decreasing tendancy in HAD and HADB. Amino acid composition of hydrolyzed sample showed abundancy in order of arginine $(34{\sim}42mg/g)$, lysine, glutamic acid, glycine, aspartic acid, valine and histidine, while that of free amino acids was arginine, histidine, lysine, aspartic acid, serine, glutamic acid, isoleucine. Glycine and glutamic acid in hydrolyzed sample showed slight decreasing tendency in HADB. Mineral content was abundance in order of Ca $(1927{\sim}2379\;ppm),\;K\;(1159{\sim}1259ppm)$ and $Mg(760{\sim}777\;ppm)$. No difference was found in drying methods.

께묵뿌리를 사용하여 건조처리별로 일반성분 당, 지방산, 아미노산 및 무기성분의 함량변화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성분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라서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2. 유리당함량은 sucrose가 $27.7{\sim}29.3mg/g$로 가장 많았고 fructose는 $0.8{\sim}3.04mg$으로 적게 함유되었으며 glucose와 xylose은 흔적정도로 나타났다. 건조처리별로는 sucrose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고 fructose는 증숙건조에서 감소되었다. 3. 지방산조성을 보면 9종이 동정되었으며 그중 linoleic acid가 $54.9{\sim}58.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palmitic, linolenic acid의 순이었으며 이들 3종류의 지방산함량이 총지방산의 $88{\sim}90%$를 차지하였다. 건조처리별로는 냉동건조구보다 열풍 및 증숙건조구에서 저비점지방산들이 약간 감소되었다. 4. 총아미노산의 조성을 보면 arginine이 $33.6{\sim}41.5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그 다음 Lys>Glu>Gly>Asp>Val>His의 순이었고 유리아미노산조성은 Arg>His>Lys>Asp>Ser>Glu>Ile의 순으로 함유되었다. 건조처리별로는 총아미노산중 glycine과 glutamic이 증숙건조에서 약간 감소할 뿐 전체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5. 무기성분에서는 Ca 함량이 $1927{\sim}2379ppm$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K $1159{\sim}1259ppm\;Mg\;760{\sim}777ppm$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건조처리별로는 별다른 함량변화가 없었다.

Keywords